안규홍 ()

안규홍 승첩비
안규홍 승첩비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전라남도 보성에서 의진을 결성한 의병장.
이칭
제원(濟元)
담산(澹山)
이칭
안계홍(安桂洪), 안담살이, 안진사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9년(고종 16) 4월 10일
사망 연도
1910년(순종 3) 6월 22일
본관
죽산(竹山: 지금의 경기도 안성)
출생지
전라남도 보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때, 전라남도 보성에서 의진을 결성한 의병장.
개설

본관은 죽산(竹山). 별명은 안계홍(安桂洪)·안담살이·안진사. 자는 제원(濟元), 호는 담산(澹山). 전라남도 보성 출신. 아버지는 안달환(安達煥)이다. 매우 가난하여 머슴살이(담살이)로 편모를 봉양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본의 내정 간섭이 점차 심화되고 1907년 한국군이 강제 해산되자, 의병을 일으켜 응징하기 위해 담살이 동지들과 모의하는 한편, 주인에게 거사할 자금으로 전곡포백(錢穀布帛)을 요구하였다. 또한, 보성의 우국지사인 참봉 안극(安極)의 묵계 아래 안극의 집에 침입해 무기와 가재를 몰수하고 점차 동지를 규합하였다.

1908년 2월 관북 출신 강성인(姜性仁)이 이끄는 무장한 의병 수 십 명과 합세해 병력은 70명으로 불어났다. 먼저 보성 동소산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런데 강성인의 민폐가 매우 심하자 그를 참형하고 군기를 엄히 하였다.

이로써 대오를 정비하고 의진을 구성하여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었다. 의진을 부장·참모장·선봉·좌우익부장·유격장·좌우부 참모·서기·군수장(軍需將)으로 편제했으며, 휘하에 염재보(廉在輔)·송기휴(宋基休)·이관회(李貫會)·송경회(宋敬會) 등의 용장이 활약하였다.

1908년 2월 일본군이 보성군 조성에서 벌교·순천을 연결하는 토벌진을 구성해 수색작전을 전개하자, 평소 이 일대의 산악지리를 자세히 파악해두어 험한 곳에 복병을 매복시켜두었다.

미도[米戶]와 히라이[平井]의 2개 부대가 골짜기 안으로 들어닥치자, 일제히 맹사격을 가하여 적군을 괴멸시킨 뒤 적의 무기와 서류 등 많은 전리품을 노획하여 대원산으로 들어가 호군하였다. 이것이 파청대첩이다. 이에 일본군은 복수하고자 대원산을 포위, 공격하였으나 적지 않은 인명 피해만 입었다.

한편, 장경선(張京善)을 참모로 임명하고 병력을 증강하여 1908년 8월 24일 진산에서 수비대 및 기병과 격전을 벌여 대첩을 거두었다. 또, 화약과 군량을 준비해 태세를 갖춘 뒤 1909년 3월 25일 원봉에 주둔하고 있던 적을 기습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것이 진산대첩과 원봉대첩으로서 파청대첩과 더불어 보성의진의 3대 대첩이다.

보성 병치에서 많은 전과를 거두었으나 유격장 안택환(安宅煥), 서기 임준현(任準鉉)이 전사하는 등 그 뒤 전세가 점차 불리해지자 장흥 백사정(白沙停)으로 후퇴하였다. 이 때 패전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적에게 의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토왜(土倭)의 제거가 시급함을 깨닫고, 복내시장과 호곡 등지에서 토왜섬멸전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의병·혈족을 통한 회유·협박 및 기만책으로 점차 의진 이탈자가 늘자, 1909년 7월 일단 의진을 해산하였다.

그런데 같은 해 9월 25일 귀향하던 중, 보성군 봉덕면 법화촌에서 부하 염재보·정기찬(鄭基贊)과 함께 토미이시[富石]부대에 붙잡혀 광주감옥에 수감되었다. 나중에 대구감옥으로 옮겨진 뒤 1910년 6월 22일 교형(絞刑)을 받고 순국하였다. 대한제국관보 제4717호에 순국 관련 사실이 고시(융희 4년 6월 28일)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제국관보(大韓帝國官報)』 제4717호
『호남절의사(湖南節義史)』
『호남의병약전(湖南義兵略傳)』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의병들의 항쟁』(조동걸, 민족문화협회, 1980)
『항일의병장열전』(김의환, 정음사, 1975)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독립운동사자료집』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