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수 없어요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한용운(韓龍雲)이 지은 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용운(韓龍雲)이 지은 시.
내용

한용운(韓龍雲)이 지은 시. 1926년에 간행된 작자의 시집 『님의 침묵』에 실려 있다. 연 구분 없이 모두 6행으로 된 자유시로 각 시행의 구조를 보면, 전체가 ‘……은(는)……누구의……입니까’라는 같은 반복 구문으로 되어 있다. 그 반복 구문과 사설적인 율격으로 표상되는 의미 또한 심오하다.

각 시행의 주제어는 모두 자연현상이고, 그 주제어에 대하여 의문형으로 되어 있는 이 시의 구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볼 수가 있다. 1∼5행까지가 자연 또는 자연현상을 통하여서 현현(顯現)되는 ‘님’, 곧 절대자의 모습을 보여준 데 대하여, 마지막 행에서는 ‘님’은 없고 ‘나’만 남아 있다.

‘오동잎-발자취’, ‘푸른 하늘-얼굴’, ‘향기-입김’, ‘시내-노래’, ‘저녁놀-시’, ‘나의 가슴-등불’과 같은 구성에서 ‘님’이 있는 상황이 낮이라면, ‘님’이 없는 상황은 ‘밤’이다. ‘님’이 없는 밤을 밝히기 위하여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되어 그칠 줄 모르고 타오르고, 내 가슴에 끊임없이 타오르는 ‘등불’로 언젠가는 ‘님’의 모습을 보게 된다는 것이 이 작품의 내용이다.

각 시행이 의문형으로 되어 있지만, 결국 그 해답은 ‘알 수 없어요’이다. 자연현상을 통하여 스스로를 보여주건만 ‘님’, 곧 절대자의 정체는 유한한 인간으로서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즉, ‘님’의 발자취는 오동잎으로, 얼굴은 파란 하늘로, 입김은 나무의 향기로, 노래는 시냇물 소리로, 시는 고운 저녁놀로 하여 보여주고 있다.

밤과 같이 어둡고 알 수 없는 ‘님’의 존재라도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되어 ‘님’의 모습이 나타날 때까지 등불을 밝히겠다는 것이다. 1∼5행까지는 오동잎 · 푸른 하늘 · 향기 · 시내 · 저녁놀 등의 자연을 통하여 나타난 ‘님’의 모습을 암시한 것이라면, 6행은 초월자의 화신을 깨달아 ‘공(空)’의 경지까지 이르기 위한 끊임없는 작자의 염원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불’은 번뇌와 구도의 이중적 상징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만해한용운연구』(박노준·인권환, 통문관, 1960)
『한용운사상연구』 1·2(만해사상연구회편, 민족사, 1979·1981)
『한용운문학연구』(김재홍, 일지사,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