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韓龍雲)이 지은 시. 1926년에 간행된 작자의 시집 『님의 침묵』에 실려 있다. 연 구분 없이 모두 6행으로 된 자유시로 각 시행의 구조를 보면, 전체가 ‘……은(는)……누구의……입니까’라는 같은 반복 구문으로 되어 있다. 그 반복 구문과 사설적인 율격으로 표상되는 의미 또한 심오하다.
각 시행의 주제어는 모두 자연현상이고, 그 주제어에 대하여 의문형으로 되어 있는 이 시의 구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볼 수가 있다. 1∼5행까지가 자연 또는 자연현상을 통하여서 현현(顯現)되는 ‘님’, 곧 절대자의 모습을 보여준 데 대하여, 마지막 행에서는 ‘님’은 없고 ‘나’만 남아 있다.
‘오동잎-발자취’, ‘푸른 하늘-얼굴’, ‘향기-입김’, ‘시내-노래’, ‘저녁놀-시’, ‘나의 가슴-등불’과 같은 구성에서 ‘님’이 있는 상황이 낮이라면, ‘님’이 없는 상황은 ‘밤’이다. ‘님’이 없는 밤을 밝히기 위하여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되어 그칠 줄 모르고 타오르고, 내 가슴에 끊임없이 타오르는 ‘등불’로 언젠가는 ‘님’의 모습을 보게 된다는 것이 이 작품의 내용이다.
각 시행이 의문형으로 되어 있지만, 결국 그 해답은 ‘알 수 없어요’이다. 자연현상을 통하여 스스로를 보여주건만 ‘님’, 곧 절대자의 정체는 유한한 인간으로서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즉, ‘님’의 발자취는 오동잎으로, 얼굴은 파란 하늘로, 입김은 나무의 향기로, 노래는 시냇물 소리로, 시는 고운 저녁놀로 하여 보여주고 있다.
밤과 같이 어둡고 알 수 없는 ‘님’의 존재라도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되어 ‘님’의 모습이 나타날 때까지 등불을 밝히겠다는 것이다. 1∼5행까지는 오동잎 · 푸른 하늘 · 향기 · 시내 · 저녁놀 등의 자연을 통하여 나타난 ‘님’의 모습을 암시한 것이라면, 6행은 초월자의 화신을 깨달아 ‘공(空)’의 경지까지 이르기 위한 끊임없는 작자의 염원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불’은 번뇌와 구도의 이중적 상징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