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 옆에서 ( 옆에서)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
현대문학
작품
서정주(徐廷柱)가 지은 시.
정의
서정주(徐廷柱)가 지은 시.
개설

4연 13행의 자유시로 서정주의 대표작이다. 1947년 11월 9일자 『경향신문』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이 시집에 수록된 것은 『서정주시선(徐廷柱詩選)』(1956)에서 비롯된다. 이 시는 국화를 소재로 하여 계절적으로는 봄·여름·가을까지 걸쳐져 있다.

내용

「국화 옆에서」의 ‘국화’는 “괴로움과 혼돈이 꽃피는 고요에로 거두어들여진 화해의 순간을 상징하는 꽃”이라고 한 어느 논자의 말과 같이, 이 시에서 ‘국화’의 상징성은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봄부터 울어대는 소쩍새의 슬픈 울음도, 먹구름 속에서 울던 천둥소리도, 차가운 가을의 무서리도 모두가 ‘한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시적 발상법은 작자 스스로 생명파로 자처하던 초기 사상과도 관련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시의 핵심부가 되는 3연에서 ‘국화’는 거울과 마주한 ‘누님’과 극적인 합일을 이룩한다. 작자는 여기서 갖은 풍상을 겪고 돌아온 안정된 한 중년 여성을 만나게 된 것이다.

“젊은 철의 흥분과 모든 감정 소비를 겪고 이제는 한 개의 잔잔한 우물이나 호수와 같이 형(型)이 잡혀서 거울 앞에 앉아 있는 한 여인의 영상(影像)”이 마련되기까지 시인은 오랜 방황과 번민을 감수해야만 하였다. 지난날을 자성(自省)하고 거울과 마주한 ‘누님’의 잔잔한 모습이 되어 나타난 ‘국화꽃’에서 우리는 서정의 극치를 발견하게 된다.

의의와 평가

작자는 이 시에서 한국 중년 여성의 안정미(安定美)를 표현했다고 하여 제3연의 ‘누님’이 그 주제적 모티프(motif)가 된다고 하지만, 그것에 못지않게 ‘국화’의 상징성도 중요하다. 이 시에서 우리는 국화가 피어나는 과정을 통하여 한 생명체의 신비성을 감득할 수가 있다. 찬 서리를 맞으면서 노랗게 피는 국화는 강인한 생명력으로 표상되고 있다.

두 번째 시집 『귀촉도(歸蜀途)』(1948)에서 작자는 ‘동양적(東洋的) 귀의(歸依)’를 시도하였는데, 여기에 이르러 서정의 절정을 이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적 변모 과정이 ‘관능과 육체에서 동양적 서정’이라는 직선적 변모가 아니라, 그 초기의 ‘감각적 경험의 모순과 갈등에서 화해로 지양되는 변증론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서정주연구』(동국문학회, 동화출판공사, 1975)
「한국시와 형이상」(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77)
「서정주 국화 옆에서」(이선영, 『월간문학』, 1970.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학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