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청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리에 있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1.80㎢
둘레
10.8㎞
소재지
전라북도 군산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어청도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리에 있는 섬이다. 전라북도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군산항에서 북서쪽으로 72㎞ 떨어져 있다. 서해의 외해에 위치하여 항구 및 항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섬 중앙부 만에 어청도항이 건설되어 있다. 섬의 북서쪽에는 항로 표지 관리소 및 등대가 위치한다. 황해 중부 어장의 기항지 및 어업 전진 기지의 역할을 하는 등 어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다.

목차
정의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리에 있는 섬.
내용

동경 126°17′, 북위 36°02′에 위치하며, 군산에서 북서쪽으로 72㎞ 지점에 있다. 전라북도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하는 섬이다. 면적은 1.80㎢이고, 해안선 길이는 10.8㎞이다. 주변 바닷물이 거울과 같이 맑아 어청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는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라북도 옥구군으로 이관되었다. 1995년에 군산시와 옥구군이 통합되면서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리가 되었다.

기반암은 동쪽이 주1의 편암, 서쪽이 중생대 주2의 대보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섬 북부의 공치산(116m) 및 섬 동부의 검산봉(101m) 등 대부분이 100m 내외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농경지는 적지만 삼림이 울창하고 식수가 풍부하다. 해안은 대부분 암석 해안이다. 섬의 중앙부에는 남쪽으로 열린 U자가 뒤집힌 모양의 너비 0.5㎞, 길이 1㎞인 넓은 만이 있어 주3으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0.1℃, 8월 평균 기온은 25.0℃, 연 강수량은 1,028㎜이다.

현황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446명(남 253명, 여 194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 수는 215세대이다. 취락은 만입부의 선착장 주변에 집중 분포한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 0.01㎢, 밭 0.01㎢, 임야 1.64㎢이다. 주민의 대부분이 어업에 종사하는 전형적인 어촌이다. 농산물은 무 · 배추 · 대파 등이 소량 생산되며, 수산물로는 멸치 · 우럭 · 전복 등이 잡힌다.

군산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섬 중앙부의 남쪽으로 열린 만이 어청도항으로 개발되어 항구 및 항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섬의 북서쪽에 어청도 항로 표지 관리소 및 등대가 위치하고 있다. 중국의 산둥반도(山東半島)와 300㎞ 떨어져 있어 태풍이 불면 대피항으로 이용된다. 과거에는 주변이 고래 어장이어서 포경선의 기지가 되는 등 황해 중부 어장의 기항지인 동시에 어업 전진 기지 역할을 하였으며, 현재도 어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교통은 군산항에서 연도를 경유하는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

어청도의 교육기관으로는 어청도초등학교가 있다. 의료기관으로는 보건지소가 있다. 행정기관으로 어청도파출소 및 군산해양경찰서 어청도 출장소, 어청도 의용소방대, 어청도 우체국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군산도서지』 (군산근대역사박물관, 2018)
『군산통계연보』 (군산시, 2018)
『도서요람』 (내무부, 1983)
『도서지』 (내무부, 1985)
『전라북도지』 (전라북도지편찬위원회, 1969)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인터넷 자료

군산시청(https://www.gunsan.go.kr/)
해양수산부 연안포탈(https://coast.mof.go.kr)
주석
주1

캄브리아기 이전의 지질 시대. 약 46억 년 전부터 약 5억 70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하며, 시생대와 원생대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2

중생대를 다시 셋으로 나누었을 때 가운데에 해당하는 지질 시대. 약 1억 8000만 년 전부터 약 1억 3500만 년 전까지의 약 4,500만 년간의 시기이다. 양치식물, 은행나무, 소철류, 파충류, 암모나이트, 공룡 따위가 번식하였으며, 조류의 선조인 시조새도 나타났다. 우리말샘

주3

고기잡이를 하는 배가 닻을 내려 머무르고, 다시 배가 나갈 준비와 잡은 수산물을 뭍으로 운반하는 항구.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