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과보 ()

목차
근대사
문헌
조선시대 역관(譯官) 가계를 기록한 중인(中人)의 족보. 역과보.
목차
정의
조선시대 역관(譯官) 가계를 기록한 중인(中人)의 족보. 역과보.
개설

1책 110장이다. 간행 연도는 미상이나 수록 인물의 역과 합격년도를 볼 때 19세기 말에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 성관(姓貫)별로 수록되어 있으며, 29개 성(姓) 80개 본관(本貫)의 계보를 담고 있다. 족보는 팔세보(八世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내용

팔세보란 일반 족보처럼 시조(始祖)를 기점으로 하여 그 시조의 자손을 적어 내려오는 것이 아니라, 본인을 기점으로 하여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는 형식을 취한다.

따라서 『역과보』는 본인을 상단으로 하여 아래로 8대조(八代祖)가 차례로 기재되어 있다(出系한 경우는 生父, 生祖父 등도 수록되어 있음). 아울러 외조(外祖) 및 처부(妻父)도 기재하여 본인까지 합해 모두 11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록 내용은 각 성관별로 본인 성명 옆에 자(字), 생년(生年), 잡과(雜科) 합격년도가 간지(干支)로 기재되며, 관직과 품계가 기록되어 있다. 가계 구성원들의 과거 합격년도, 관직과 품계도 기재되어 있다. 8대조 및 외조, 처부의 관력(官歷)을 보면 대부분이 잡과에 합격했으며, 또 기술관청에 소속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19세기 잡과 합격자의 8대, 약 200여 년에 걸친 잡과 가문의 세전과 가계의 변천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당시 간행된 『역과팔세보(譯科八世譜)』·『역등제보(譯等第譜)』 등의 역관 족보와 비교할 때 수록 성관이나 내용이 풍부하다.

이러한 중인 족보가 19세기에 간행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새롭게 부상하는 중인층의 신분의식 강화 및 신분상승운동 등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들은 중인 족보를 간행했을 뿐 아니라, 『잡과방목(雜科榜目)』·『연조귀감(掾曹龜鑑)』·『규사(葵史)』 등과 같은 자신들 신분의 연원을 밝히는 서적들을 간행했다. 이는 잡과 입격자를 중심으로 하는 고급 기술관료들이 주도하였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역과팔세보(譯科八世譜)』(규장각)
『역등제보(譯等第譜)』(규장각)
『조선시대(朝鮮時代) 잡과입격자(雜科入格者) 신분(身分)에 관한 연구(硏究)』(이남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9세기(世紀) 한국사학(韓國史學)의 새 양상(樣相)」(이기백, 『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韓㳓劤博士停年記念史學論叢)』, 1981)
집필자
이남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