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분 ()

목차
과학기술
개념
연(Pb)을 가공하여 만든 알칼리성 탄산연.
목차
정의
연(Pb)을 가공하여 만든 알칼리성 탄산연.
내용

연분 외에 분석(粉錫)·연화(鉛華)·호분(胡粉,食胡粉)·정분(定粉)·와분(瓦粉)·광분(光粉)·수분(水粉)·관분(官粉)·소분(韶粉)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허준(許浚)의 『동의보감』과 이규경의 『오주서종박물고변(五洲書種博物考辨)』이 연분의 용도와 제법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규경이 기록한 네 가지 제법 중에 세 가지는 1596년에 『본초강목(本草綱目)』을 저술한 명대(明代) 이시진(李時珍)이 전하는 방법들이며, 나머지 한 방법은 왜방(倭方)이다. 이들 중 이시진이 진주(辰州)사람의 방법이라고 전하는 제법과 일본에서 쓰던 방법은 기원전 3세기부터 이미 중국에 잘 알려져 있었다.

또한, 서양에서도 그리스 철학자 테오프라스토스(Theophrastos)와 로마의 플리니우스(Plinius) 등에 의하여 고대부터 기록되어 ‘더치 프로세스(Dutch Process, 네덜란드 과정)’로 알려져 사용되었다.

중국 송응성(宋應星)의 『천공개물(天工開物)』에도 서술된 이 방법은 우선 100근의 연을 녹여서 깎아 얇은 편(片)으로 만든 다음, 말아서 통(筒)으로 만들어 나무시루[木甑] 안에 넣고 시루 아래와 시루 중간에 각각 초 한 병씩을 넣는다. 소금 진흙과 종이로 시루 바깥을 막고 풍로로 불을 피운다. 그런 다음 7일 동안 보온하여 하얗게 생긴 가루를 쓸어서 물항아리 안에 담는다.

전과 같이 보온하여 여러 번 이와 같이 되풀이하여 연이 거의 다 없어지는 것을 기준 삼으니, 없어지지 않은 것을 남겨 볶아서 황단(黃丹)을 만든다. 한 근마다 콩가루 두 냥과 조갯가루[蛤粉] 네 냥을 섞어 물에 넣어서 균일하게 젓고 가라앉혀서 깨끗한 물은 버리고, 부드러운 재를 종이 위에서 물을 빼고 가위로 기와 모양으로 만들어서 말린다.

또 다른 방법은 연덩어리를 술항아리 안에 매달고 49일 동안 봉하였다가 열어 보면 분이 되니, 희지 않게 변한 것을 볶아서 황단을 만든다. 이 방법은 이시진이 전하는 숭양(嵩陽)사람의 방법인데 오늘날 우리 나라에서도 역시 쓴다고 하였으니, 그 당시 이 방법이 손쉽게 많이 사용되었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허준의 『동의보감』에 의하면, 연분은 성질이 차고[寒], 악성 부스럼[惡瘡]을 다스리고, 징가(癥瘕:뱃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병)와 적취(積聚:체증이 오래되어 덩어리가 지는 병) 등을 치료하는 데 쓴다. 또한, 성질이 체(滯)하여 이질(痢疾) 등을 그치게 한다. 연분은 이렇게 약으로 쓰이는 외에 그림을 그릴 때 흰 안료(顔料)와, 여자들이 얼굴을 화장할 때 바르는 분가루로 사용되었다.

연분을 아마인기름과 섞으면 견고하고 접착성과 유연성이 좋은 안료제품이 되어 19세기에는 가장 중요한 흰 안료로 쓰였다. 얼굴을 치장하는 분가루로 쓰인 경우는 기원전 4세기의 그리스 고분과 진(秦)나라와 한나라 때의 고분들에서 발견되었으므로, 연분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아주 옛날부터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오주서종박물고변(五洲書種博物考辨)』
『천공개물(天工開物)』
A Compendium of Minerals and Stones ; Used in Chinese Medicine from the Pen T′sao Kang Mu, Li Shih Chen, 1597 A.D.(Compiled by B.E.Read and C.Pak, The Peking Society of Natural History, 1928)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Needham, Joseph, ed., Cambridge, England, 1976, Volume 5-2·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