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주군 ()

인문지리
지명
평안북도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평안북도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군.
개설

북부는 룡천군 · 피현군, 동부는 동림군, 남부는 철산군과 접해 있으며 서쪽은 서해와 면해 있다.

북동∼남서 간의 길이는 29㎞이고 북서∼남동 간의 길이는 14㎞이며, 면적은 330여㎢로 도 전체면적의 2.61%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로동지구(다사) 22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염주읍이다.

명칭 유래

1952년 12월에 평안북도 룡천군과 철산군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새로 군이 설치되었다. 예로부터 주요한 소금생산지의 하나라는 데서 염전마을로 유명한 염소동에서 ‘염(鹽)’ 자와 고을을 의미하는 ‘주(州)’ 자를 붙여 염주군이라 한다.

자연환경

군 전체 면적의 대부분은 해안평야지대로서 해발 100m 이하의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형은 중부와 남부지역은 해발 100m 미만의 구릉지대이고, 서부지역은 개간된 넓은 간척지로 되어 있으며 북부와 동부 일부 지역에만 명월산 · 룡골산 · 수차산 · 연대산 등이 솟아 있어 북동부에서 남서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지세를 이룬다.

앞 바다에는 대다사도 · 대연동도 · 가차도 등이 있었으나 대계도지구 간석지가 개간됨으로써 육지로 전환되었다. 대부분 평야지대로 하계가 발달하지 못하고 동강 · 전장천 등의 작은 하천이 서해안으로 유입한다.

기후는 바다의 영향으로 도내에서는 온화한 편으로, 평균기온 8.5℃, 1월 평균기온 ·8.7℃, 8월 평균기온 23.8℃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860㎜로 평균값보다 300㎜ 적다.

산림은 군 넓이의 15%를 차지하며, 소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류가 주종을 이룬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양, 충적지토양, 간석지토양, 논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황

경제구조는 대체로 현대적인 공업과 다양한 농업 그리고 수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업부문은 기계공업, 화학공업, 방직 및 피복공업, 식료공업, 일용품공업 등이 있다.

서해안의 주요 소금생산지로 알려진 이 군에는 규모가 큰 남시제염소가 가장 유명하다. 학소리 일대의 염전들은 광복 후 간척사업으로 논으로 바뀌었다. 해안에 위치한 포구들에서는 숭어, · 준치, · 멸치, · 까나리 등이 잡힌다.

경제에서 기본을 이루는 농업은 벼농사 위주로 도내에서 벼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지역의 하나이며, 축산업, 과수생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경지 중에서 논이 68%, 밭이 25%, 과수원이 5%로 구성되어 있다. 평안북도의 주요 과일생산지로 사과와 배, 복숭아가 산출된다.

군의 중심으로 평의선이 지나며, 북동부지역으로 백마선이 서부지역으로 대사도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염주역과 내중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평양∼신의주간 1급도로와 룡암포∼염주 간, 백마∼염주 간, 룡북리∼대사도 간, 중호리∼내중리 간, 중호리∼반호리 간, 룡산리∼제염소 간 등의 도로가 방사상으로 뻗어 있다. 도 소재지인 신의주까지는 36km이다..

고구려시대 산성인 룡골산성이 국가지정문화재국보급 제62호로 지정되었다.

1993년에는 반궁리에서 5000년 전의 것으로 인정되는 신석기시대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100여㎡에 달하는 면적에서 돌괭이(호미) · 돌활촉 · 돌끌 · 숫돌 · 돌송곳과 함께 많은 질그릇도 발견되었다. 돌괭이는 평안북도 지방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유물이다. →용천군, 철산군

현재의 행정구역은 염주읍과 다사(多獅)노동자구, 인광(仁光), 향봉(香峰), 삼개(三介), 연산(連山), 서림(西林), 룡산(龍山), 동성(東城), 반곡(盤谷), 내중(內中), 연곡(蓮谷), 도봉(道峰), · 용북(龍北), 신정(新停), 외하(外下), 남압(南鴨), 반궁(盤弓), 중호(中虎), 학소(鶴巢), 하석(下石), 동발(東鉢), 주의(做儀) 등 22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 6·① (평화문제연구소, 2005)
『북한관광 요람』, I (북한관광요람 편찬위원회, 한국일보 멀티미디어, 1998)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북한의 관광자원』(한국관광공사, 1991)
북한지역정보넷(http://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