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시군 ()

인문지리
지명
자강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郡).
정의
자강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郡).
개설

동부는 초산군·고풍군, 서부는 평안북도 벽동군, 남쪽은 송원군·평안북도 동창군과 접해 있으며, 북부는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동북지방과 마주하고 있다. 면적은 703.01㎢로서 도 전체 면적의 4.19%를 차지한다. 현 행정구역은 1읍 1구 22리이고, 군 행정중심지는 우시읍이다.

형성 및 변천

1952년 행정구역 개편시 평안북도 벽동군의 우시면·가별면·오북면의 전부와 벽동면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신설된 군이다. 1954년 10월 평안북도에서 자강도로 이관되었다. 1964년 4월에는 초산군 하창리와 고풍군 용해리가 편입되었고, 1967년에는 발은리가 발은노동자구로 개칭되었다.

행정구역은 우시읍과 발은(發銀)노동자구, 금성(金城)·금양(金陽)·우상(雩上)·우중(雩中)·시하(時下)·시상(時上)·별하(別下)·별상(別上)·가하(加下)·가중(加中)·가상(加上)·평상(平上)·대평(大平)·상평(上坪)·하평(下坪)·부흥(富興)·북하(北下)·북상(北上)·오상(吾上)·오하(吾下)·용해(龍海)·하창(下倉) 등 22개 리(里)로 되어 있다.

명칭 유래

우면(雩面)과 시면(時面)을 통합하여 우시면이라 하였다. 우면은 기우제를 지내던 고장이라 해서 비롯된 지명이고, 시면은 시제를 지내던 고장이라 해서 비롯된 지명이다.

자연환경

산지가 우세한 산간지대로서 저산성산지가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제일 높은 대봉산(大峯山) 일대는 해발고도 1,149m, 제일 낮은 압록강 하류 상평리(上平里) 일대는 해발 120m 정도이며 평균고도는 약 260m 정도이다. 강남산맥이 북동·남서방향으로 뻗어 있고, 남부와 서부 경계에는 부어골산(1,140m)·대바위산(1,111m)·대봉산 등의 산이 솟아 있다.

군 안에는 압록강을 비롯하여 충만강·가막천·충면천·우룡강 등의 하천이 흐른다. 충만강 하류부의 우시분지를 비롯하여 북부 하천연안에는 크지 않은 충적지가 곳곳에 이루어져 있다. 주요 기반암은 화강암·화강편마암 등이고, 주로 산림갈색토양이 퍼져 있다.

연평균기온 6.8℃, 1월 평균기온 ·14.1℃, 8월 평균기온 22.7℃이며, 연평균강수량은 974㎜이다. 첫서리는 10월 초부터 내리기 시작하여 마감서리는 다음 해 5월 초에 끝난다.

산림은 군 면적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주요 수종은 소나무·이깔나무·잣나무·참나무·피나무 등이 있다.

현황

오랫동안 화전민들이 감자나 귀밀농사를 지으며 살던 곳으로, 산업이란 일제가 개발한 발은광산이 있었을 뿐이었다. 광복 후에 목재와 부존자원을 기초로 하여 식료·직물·일용품·화학·종이·제약공업 등이 발달하였다.

농경지는 논이 5%, 밭이 78%, 뽕밭이 13%, 과수원이 4%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지의 대부분이 압록강과 그 지류 연안에 분포되어 있다. 논은 주로 우시읍, 하창리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밭은 주로 부흥리, 우시읍 등에 분포되어 있는데, 그 중 80% 이상이 경사지에 위치해 있다. 곡물은 옥수수·벼·콩·감자·보리 등이 생산되고 있다. 평균 고도가 264m에 달하여 과수재배에 적당한 환경으로, 광복 후에 대대적으로 과수원이 조성되면서 특히 배가 유명하고 사과·포도 등이 재배된다. 뽕밭 면적이 많고 누에고치 생산이 탁월하다.

압록강에 위치한 수풍호는 수상운수·양어·관개용수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지하자원으로는 금·흑연·석회석 등이 매장되어 있고, 최근 발은광산이 개발되었다.

철도는 없으나 도로가 위원·초산·벽동·창성 등지로 연결되며, 수풍호와 충만강을 이용한 수상통로가 개설되어 수풍·만포 방향으로 정기여객선과 수송선이 운항하고 있으며, 수많은 목재가 충만강 뗏목길을 통하여 운반된다. 가하리약수가 유명하다. →벽동군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 7 (평화문제연구소, 2005)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