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감놀이 (놀이)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제주도굿에서 영감이라고 하는 도깨비를 대접할 때 연행하는 굿놀이.
내용 요약

「영감놀이」는 제주도굿에서 영감이라고 하는 도깨비를 대접할 때 연행하는 굿놀이이다. 영감 때문에 병을 앓게 되었을 때 연행되는 경우가 많다. 형제 중의 막내인 영감이 침범한 사람에게 병이 생겼으므로, 영감의 형제 신들을 불러다 잘 대접하여 아우 영감을 데려가게 하는 장면을 연극처럼 공연함으로써 환자의 치유를 도모한다. 영감의 내력을 풀이할 때에는 「영감본풀이」가 구연된다.

목차
정의
제주도굿에서 영감이라고 하는 도깨비를 대접할 때 연행하는 굿놀이.
내용

「영감놀이」는 영감의 형제들을 청해 들여 대화와 술잔을 주고받으며 대접한 뒤에 돌려보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특히 치병굿의 경우, 영감의 형제들을 청하여 잘 대접해서 문제를 일으킨 막내를 데려가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치병굿에서의 「영감놀이」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마당에 제사상을 차린다. 제사상에는 다른 굿과 같이 주46 · 떡 · 쌀 · 과일 · 채소 · 술 등 여러 가지 제사 음식 및 재료를 올리는데, 특히 돼지머리 · 수수떡 · 소주 따위의 주16이 즐겨 먹는 음식을 올린다.

북 · 징 · 꽹과리 · 장구 등 사용하는 무구(巫具)는 다른 굿과 같은데, 특히 준비해야 할 것은 영감의 가면과 짚으로 만든 자그마한 배이다.

심방이 연극적 효과를 노릴 경우, 두꺼운 종이로 얼굴 모양을 만든 후 그 위에 물감으로 그려 놓은 가면을 만든다. 보통은 창호지(窓戶紙)에 눈 · 코 · 입의 구멍을 뚫어 얼굴을 가리어 덮게 하고 수염을 붙인 가면을 만든다. 배의 경우, 실이나 노끈으로 짚을 엮어 배의 형태를 만들고, 가는 막대기를 배 중심에 꽂아서 배의 돛대로 삼으며, 거기에 하얀 종이를 달아매어 돛으로 삼는다.

소미( 소무(小巫))는 영감 가면을 쓰고, 헌 도포를 입고, 헌 짚신을 신고, 헌 갓을 쓰고, 주19를 물고 영감으로 분장하여 집 바깥으로 멀리 나가 양쪽으로 갈라서서 기다린다.

마당의 주20에서는 군복 차림의 주21이 일반굿을 하듯 초감제를 시작한다. 먼저 굿을 하는 날짜와 장소를 설명하는 ‘날과 국섬김’에 이어서, 「영감놀이」를 하는 이유를 노래하는 ‘집안 연유 닦음’을 한 뒤, 영감이 올 문을 여는 ‘군문열림’을 한다.

이후 영감을 청해 들이는데, 이 단계에서 수심방은 「영감본풀이」를 구연하고, “이런 영감님이 한라산으로 하여 제주 3읍 방방곡곡을 돌면서 놀다가 이제 주22으로 들어서려고 한다. 영감님은 부르면 들어서자, 외치면 들어서자 하는데, 삼선향(三仙香)을 피워 들고 모셔 들이자.”라고 하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며, 향로와 주23을 들고 바깥을 향하여 신을 맞이하는 춤을 춘다.

이 대목부터 「영감놀이」가 본격적으로 행해진다. 굿청에서 불을 꺼 캄캄하게 하면 멀리 나가 대기하던 영감이 횃불을 내두르며 이리 펄쩍 저리 펄쩍 뛰어다니다가 굿청 가까이 들어가고, 수심방이 바깥을 향하여 영감을 부른다.

굿청에 들어온 영감과 심방은 ‘좋아하는 곳이 어떤 곳이냐, 어떤 날씨를 좋아하느냐,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이냐, 해녀나 과부도 좋아하지 않느냐?’ 등의 해학적(諧謔的)인 대화를 나눈다. 이런 대화는 영감신임이 틀림없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대화의 해학(諧謔)과 영감의 경망(輕妄)스럽고 허청대는 행동이 구경꾼의 웃음을 자아낸다.

이어 수심방이 “당신의 막냇동생도 역시 여자를 좋아해서 이 집 따님에게 주28 있으니, 얼굴이라도 보면 어떠냐?”라고 제안하면, 영감은 “어서 빨리 얼굴이나 보자.”라고 환영한다. 여기에 환자를 데려다 앉히면 영감은 “내 동생이 주29.”라고 하며 환자의 어깨를 치고, 제상에 차려 놓은 맛있는 음식을 실컷 먹고 한참 놀고 떠나가자고 한다.

서로 술을 권하며 나누어 마신 뒤, 환자나 가족들과도 이별의 잔을 나눈다. 그러고는 마지막으로 한판 실컷 놀고 가자고 하며 「서우젯소리」에 맞추어 짚으로 만든 배를 들고 춤을 춘다. 이때 환자나 가족 · 구경꾼들도 함께 어울려 한참 동안 논다.

춤이 끝나면 영감은 “명주 바다에 실바람이 나는데, 물때가 점점 늦어진다.”라고 하면서 쌀 · 물 등 제주도 특산물들을 배에 가득 실으라고 한다. 소미들이 마치 무거운 짐을 싣듯이 “에양차, 에양차”라고 하면서 짚으로 만든 작은 배에 제물을 조금씩 떠 넣는다.

이런 식으로 주34 · 주35 · 전복 · 소라 등을 배에 가득 싣고, 닻을 감고 돛을 단 후 북을 울린다. 영감이 “이별이여, 작별이여, 배 놓아 가자.”라고 외치며, 동생을 데리고 가는 것처럼 짚으로 만든 배를 메고 나가 바다에 띄워 보낸다. 이를 ‘배방선’이라 하며, 배방선으로 놀이는 끝이 난다.

특징

요컨대 이 놀이는 영감의 형들에게 동생을 데려가게 함으로써, 영감 때문에 앓은 병을 치료한다는 치병 의례(治病儀禮)의 성격을 띤 굿놀이이다. 「영감놀이」는 신을 청하면 신이 바로 눈앞에 나타나고, 실제 행동으로 보여 주면서 소원을 들어주는 굿으로, 심방과 소무의 행위를 통해 자연스럽게 극적으로 연출된다. 무당의 굿이면서, 소박하고 원초적(原初的)인 모습의 연극적 구성을 지니는 것이다. 의례(儀禮)와 놀이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된다.

이 놀이의 또 하나의 특징은 양반을 풍자(諷刺)하는 서민극(庶民劇)의 성격과 가면극(假面劇)의 원초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는 점이다. 먼저 도깨비를 영감 또는 참봉이라 부르는 것은 양반에 대한 서민적 풍자이다. 영감은 정3품 · 종2품 당상관(堂上官)을 부르는 호칭이다. 이러한 영감을 도깨비에게 비유해 놓고, 그 차림새를 헌 갓, 헌 도포, 한 뼘도 안 되는 곰방대로 꾸미고, 거기에다 영감을 수수 범벅이나 여자를 좋아하는 것으로 그려 놓아 양반에 빗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영감은 술이나 얻어먹고, 해녀가 생명을 걸고 따낸 전복 · 소라 · 미역 따위의 특산물을 한 배 가득 싣고 떠날 때가 되어서야 서민의 소원을 들어주고 있다. 이 놀이는 바로 이러한 양반에 대한 풍자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의의와 평가

「영감놀이」는 영감이 탈을 쓰고 등장하는 ‘영감탈놀이’ 중 하나이다. 무당이 전승해 오고 있는 영감탈놀이는 제주도 「영감놀이」 외에도 황해도 배연신굿의 영산할아뱜 · 영산할먐굿, 동해안별신굿의 탈굿 등이 있고, 세속적(世俗的)인 탈춤에서도 영감탈놀이의 유산을 확인할 수 있다. 「영감놀이」는 굿과 탈춤 연희(演戲)의 상관성을 엿볼 수 있는 자료 가운데 하나이다.

한편 「영감놀이」는 두린굿, 추는굿과 같은 심리 치료 의례에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통적인 심리 치료극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평가를 받는다.

참고문헌

원전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신구문화사, 1980)
진성기,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민속원, 1991)
고광민·강정식, 『제주도 추는굿』(국립문화재연구소 편, 피아, 2006)
현용준, 『(개정판)제주도무속자료사전』(각, 2007)

단행본

현용준, 「영감놀이」(『한국의 민속예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8)
강정식, 『제주굿 이해의 길잡이』(민속원, 2015)

논문

김진영, 「<영감놀이>의 심리치료극적 구조와 성격」(『탐라문화』 45,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4)
몽흐자르갈, 「한국 전통극 영감놀이 연구」(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주석
주1

모든 도깨비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모질고 사나운 귀신의 하나. 우리말샘

주4

밤에 무덤이나 축축한 땅 또는 고목이나 낡고 오래된 집에서 인 따위의 작용으로 저절로 번쩍이는 푸른빛의 불꽃. 우리말샘

주5

곡식 가루를 된풀처럼 쑨 음식. 늙은 호박이나 콩, 팥 따위를 푹 삶은 다음 거기에 곡식의 가루를 넣어 쑨다. 우리말샘

주6

신당(神堂)에 모신 신(神). 우리말샘

주8

본(本)을 푼다는 뜻으로, 신의 일대기나 근본에 대한 풀이를 이르는 말. 굿에서 제의(祭儀)를 받는 신에 대한 해설인 동시에 신이 내리기를 비는 노래이기도 하다. 우리말샘

주9

연출하여 행함. 우리말샘

주10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은 신화나 설화, 민요 따위를 기억하고 있는 제보자를 찾아가 이야기나 노래 따위를 듣고 난 후, 그 구술 내용을 적거나 녹음해 둔 자료나 책. 우리말샘

주11

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우리말샘

주15

찰수수 가루로 만든 떡. 우리말샘

주16

제주 영감놀이에서 위하는 신. 도깨비불을 인격화한 도깨비 신이다. 우리말샘

주17

주로 문을 바르는 데 쓰는 얇은 종이. 우리말샘

주19

살담배를 피우는 데에 쓰는 짧은 담뱃대. 우리말샘

주20

굿을 할 때에 총본부가 되는 곳. 우리말샘

주21

무당의 우두머리 우리말샘

주22

장사(葬事) 때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무덤 옆에 마련한 곳. 우리말샘

주23

무당이 쓰는 도구의 하나. 무당이 점칠 때나 굿을 할 때에 손에 들고 흔드는 방울이다. 우리말샘

주24

익살스럽고도 품위가 있는 말이나 행동이 있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25

선의의 웃음을 유발하여 고통과 갈등을 극복하는 웃음의 정신. 풍자나 조롱과는 다르게 인간에 대한 긍정을 전제로 한다. 특히 한국 문학은 고전 문학에서부터 해학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26

행동이나 말이 가볍고 조심성 없는 데가 있다. 우리말샘

주27

다리에 힘이 없어 잘 걷지 못하고 비틀대다. ‘허정대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우리말샘

주28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거나 해치다. 우리말샘

주29

틀림이 없이 확실하다. 우리말샘

주30

풍력 계급 1의 바람. 10분간의 평균 풍속이 초속 0.3~1.5미터이며, 연기의 이동에 의하여 풍향을 알 수 있으나 풍향계는 움직이지 않는다. 우리말샘

주31

하루에 두 번씩 밀물과 썰물이 들어오고 나가고 하는 때. 우리말샘

주34

우뭇가사리 따위를 끓여서 식혀 만든 끈끈한 물질. 음식이나 약 또는 공업용으로 쓴다. 우리말샘

주35

녹조류 청각과의 해조. 높이는 15~40cm이며, 식물체는 짙은 녹색을 띠고 세포성 격막이 없어 원형질이 모두 연결된 비세포성 다핵체를 이루고 있다. 김장 때 김치의 고명으로 쓰기도 하고 그냥 무쳐 먹기도 한다. 파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깊은 바다에서 자라는데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36

함부로 가까이 범하여 접촉함. 우리말샘

주37

굿을 하면서 여러 사람이 모여서 즐겁게 노는 일. 또는 그런 활동. 우리말샘

주38

일이나 현상이 비롯하는 맨 처음이 되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40

남의 결점을 다른 것에 빗대어 비웃으면서 폭로하고 공격하다. 우리말샘

주41

일반 서민들의 삶을 소재로 하는 극. 우리말샘

주43

탈을 쓰고 하는 굿. 우리말샘

주46

제사 때 신위(神位) 앞에 놓는 밥.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진희(아주대학교 특임교원,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