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신항리 상여 ( )

목차
관련 정보
영동 신항리 상여
영동 신항리 상여
가족
유물
국가유산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에 있는 한말의 상여.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동 신항리 상여(永同 新項里 喪輿)
분류
유물/기타종교공예/유교공예/의례용구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94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충북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503-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에 있는 한말의 상여.
내용

1994년 충청북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1습(襲). 1909년(순종 3)에 제작된 것으로, 재료는 목재와 천이고, 대차와 소차 이중구조이다.

왕가의 상여로 고종의 6촌 형인 이용강 대감이 충정북도 영동군 황간면 금계리로 유배 온 뒤 1870년에 세상을 떠나자, 고종이 그를 애도해 하사한 것으로 알려 졌으나, 실제는 세종의 열셋째 아들인 밀성군(密城君)의 15세손 이용직(李容直, 1824∼1909)의 것으로 밝혀졌다. 한 동안 주민들이 고종의 6촌 형인 이용강 대감의 것이라고 주장하게 된 것은 이용직이 용강 현감을 지낸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이용직은 철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용강현감을 거쳐 여주목사, 영남어사, 경상도감사에 이어 공조판서가 되었다. 홍문관·예문관 제학을 지냈고, 기로사(耆老社)에 들어갔다. 묘소는 황간면 수석리 후록에 있다.

이 상여의 특징은 보통 상여와는 달리 대차와 소차 등 2중 구조로 대차 32명, 소차 24명이 메도록 되어 있는데, 규모가 크고 외부장식이 섬세하고 다채롭다. 대차는 총길이 10m, 둘레 47㎝로 만들어져 있다.

또, 교차판(칠성판)이 있어 관을 칠성판(가로 123㎝, 고리 8개)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장식은 용머리가 앞뒤로 1개씩 2개씩 4개, 봉(鳳: 수컷)이 앞뒤로 2개씩 4개, 황(凰: 암컷) 앞뒤로 1개씩 2개, 동자상이 앞뒤좌우에 6개씩 12개 등으로 정교하게 장식되어 있고 연꽃 등 단청과 풍경이 섬세하게 그려져 있다.

그 외에 매듭과 바닥을 아름답게 장식하고 단청이 섬세하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남은들 상여와 강원도 춘천시 청풍부원군 상여와 비교하여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다.

혼백을 모시는 요여(腰輿)는 4명이 들도록 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