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가 ()

목차
관련 정보
고산유고(권6) / 오우가
고산유고(권6) / 오우가
고전시가
작품
1642년(인조 2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목차
정의
1642년(인조 2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내용

1642년(인조 20)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작자가 은거지인 금쇄동(金鎖洞)에서 지은 <산중신곡 山中新曲> 18수 중 6수로, ≪고산유고 孤山遺稿≫ 제6권 하편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서사(序詞)인 첫 수에서 수(水)·석(石)·송(松)·죽(竹)·월(月)의 다섯 벗을 말하고, 각각의 벗에 대하여 다시 한수씩 노래하였다.

둘째 수는 “구룸 빗치 조타ᄒᆞ나 검기ᄅᆞᆯ ᄌᆞ로 ᄒᆞᆫ다/ᄇᆞ람소ᄅᆡ ᄆᆞᆰ다ᄒᆞ나 그칠 적이 하노매라/조코도 그츨 뉘 업기ᄂᆞᆫ 믈 뿐인가 ᄒᆞ노라.”라 하여 그칠 줄 모르는 물의 부단(不斷)함을 노래하였다.

셋째 수에서는 “고즌 므스 일로 퓌며셔 쉬이 디고/플은 어이ᄒᆞ야 프르ᄂᆞᆫᄃᆞᆺ 누르ᄂᆞ니/아마도 변티 아닐ᄉᆞᆫ 바회 뿐인가 ᄒᆞ노라.”라 하여 바위의 불변(不變)함을, 넷째 수에서는 “더우면 곳 퓌고 치우면 닙 디거ᄂᆞᆯ/솔아 너ᄂᆞᆫ 얻디 눈서리ᄅᆞᆯ 모ᄅᆞᄂᆞᆫ다/구쳔(九泉)의 블희 고ᄃᆞᆫ 줄을 글로 ᄒᆞ야 아노라.”라 하여 눈서리를 모르는 솔의 불굴(不屈)을, 다섯째 수에서는 “나모도 아닌 거시 플도 아닌 것시/곳기ᄂᆞᆫ 뉘 시기며 속은 어이 뷔연ᄂᆞᆫ다/뎌러코 ᄉᆞ시(四時)예 프르니 그를 됴하 ᄒᆞ노라.”라 하여 속이 빈 대나무의 불욕(不欲)을, 여섯째 수에서는 “쟈근 거시 노피 떠셔 만믈(萬物)을 다 비취니/밤듕의 광명(光明)이 너만ᄒᆞ니 또 잇ᄂᆞ냐/보고도 말 아니ᄒᆞ니 내 벋인가 ᄒᆞ노라.”라 하여 달의 불언(不言)을 노래하였다.

작자는 물·돌·솔·대·달을 보며 부단·불변·불굴·불욕·불언 등의 규범을 노래한 것이다. 좌절을 안겨준 현실에 무상함을 느끼면서 변하지 않는 자연의 다섯 벗을 찬양하였다.

참고문헌

「강호가도연구(江湖歌道硏究)」(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진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