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암 거푸집 일괄 ( 거푸집 )

목차
관련 정보
전 영암 거푸집 일괄
전 영암 거푸집 일괄
과학기술
유물
문화재
활석(滑石)으로 만들어진 주물도구.
이칭
이칭
용범, 국보 제231호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보(1986년 03월 14일 지정)
소재지
서울 동작구 상도로 369, 한국기독교박물관 (상도동,숭실대학교)
목차
정의
활석(滑石)으로 만들어진 주물도구.
개설

1986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국보로 지정된 13점의 용범은 청동기 후기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들 용범(거푸집 또는 주형이라고 부름)은 광복 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발굴된 것으로 전해져 있지만, 그 상세한 과정은 더 알려져 있지 않다.

활석으로 만들어진 13점은 일부가 없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용범 가운데 훌륭한 유물에 속한다.

내용
  1. 세형동검용범일조(細形銅劍鎔范一組)

먼저 세형동검(細形銅劍)을 만들었던 한 쌍의 용범이다. 용범 한 쪽의 크기는 34.5㎝×7.4㎝×4㎝이고, 이것으로 만들어낼 구리칼의 길이는 33㎝이다. 많이 사용된 듯 돌이 까맣게 탔고 약간 손상된 부분도 있다.

  1. 세형동검·동과용범일조(細形銅劍·銅戈鎔范一組)

다른 한 쌍의 용범은 한 쪽에는 역시 가는 동검을, 다른 쪽으로는 꺽창(동과 ㄱ자 모양의 창)을 만들게 되어 있다. 한 쪽 크기는 35.5㎝×8.8㎝×4.1㎝이다. 역시 많이 사용된 듯 검게 타 있다.

  1. 동부·동착용범일조(銅斧·銅鑿鎔范一組)

다른 두 쪽의 용범은 한 쪽에는 둥근 모양의 자귀를, 다른 쪽으로는 네모진 모양의 조금 작은 자귀와 가늘고 긴 끌[鑿]을 함께 만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 동부(銅斧)·낚시바늘용범(鎔范)·동부용범(銅斧鎔范)

또한, 부채꼴 모양의 자귀를 만들 수 있는 용범도 한 쌍이 있고, 낚시바늘과 바늘을 만들 수 있는 용범, 그리고 거울을 만들 용범을 만들다가 실패한 돌을 다시 잘라 다른 쪽에 자귀를 만드는 용범을 만든 것 등도 남아 있다. 이들 작은 용범 한 조각은 크기가 11.93㎝×7.05㎝×2.17㎝로 되어 있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한국 청동기문화의 연구』(임병태, 학연문화사, 1996)
『한국의 청동기문화』(국립중앙박물관, 1993)
「용인출토세형동검용동」(김재원, 『이숭녕박사송수기념논총』, 1968)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성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