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장사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남산 용장사지
경주 남산 용장사지
불교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남산(南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사찰.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남산(南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사찰.
내용

일제강점기 이 계곡을 발굴 조사할 때 용장사라고 쓴 기와조각이 발견, 확인되었다. 이 절은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서 유가종(瑜伽宗)의 고승인 대현(大賢)이 살고 있었는데, 그가 이 절에 있는 장륙상(丈六像)의 주위를 돌며 예배하면 불상도 그를 따라 얼굴을 돌렸다고 한다.

또, 조선 초기에는 말년에 승려가 된 김시습(金時習)이 이절에 기거하면서 『금오신화(金鰲神話)』를 썼는데 이때까지만 해도 용장사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이 절터에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과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1987년 보물로 지정된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등 중요한 문화재들이 산재하고 있다. 이 중 석불좌상은 자연석의 기단부 위에 연화(蓮華)를 양각한 3층의 원형좌대를 탑의 옥개석과 같이 놓고 그 위에 불상을 안치하였다.

또, 삼층석탑도 자연석을 지대석으로 이용하고 그 위에 석탑을 올린 것으로 용장사 주위의 계곡 어디에서나 이 탑을 볼 수 있게 건립하였다. 불상보다 더 높은 위치에 탑이 세워진 것은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이며, 탑과 대좌가 자연석을 기단으로 한 것도 이러한 의미에서이다. 또, 원형불상대좌 옆에 있는 마애여래좌상은 거의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수려한 작품이다. 상호(相好)는 단아하고 머리에는 나발이 선명하며 의문(衣文)은 가는 평행선으로 음각하였다. 이 밖에도 삼층석탑의 위쪽에는 폐탑(廢塔)이 있으며, 용장사계가 끝나는 산꼭대기 바위에는 거대한 불좌(佛座)가 있다. 자연암석 위에 연꽃을 새긴 것으로 지름 1.5m, 둘레 5.5m이다.

참고문헌

『삼국유사』(경주시, 1982)
『고도경주』(경주시, 1982)
『신라의 폐사』Ⅱ(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7)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