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 쌍학리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북도 용천군에 있는 석기시대 민무늬토기 · 반달돌칼 · 돌도끼 등이 출토된 선사유적.
목차
정의
북한 평안북도 용천군에 있는 석기시대 민무늬토기 · 반달돌칼 · 돌도끼 등이 출토된 선사유적.
내용

용천군의 압록강 입구에서 동쪽으로 약 7㎞ 떨어진 곳에 있다. 1958년에 수로공사중 지표 아래 1m의 이탄층과 그 밑의 회색진흙층에서 목이 달린 민무늬토기와 반달돌칼·돌도끼 등이 출토되었다.

그 뒤 확실한 조사연도 및 층위상황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곳에서 출토된 빗살무늬토기가 언급되고 있다. 이 토기들은 바탕흙에 운모나 흑연을 섞고 표면을 연마하였으며, 항아리[壺]·바리[鉢] 등의 기형에 번개무늬·덧무늬[隆起文]·점선빗무늬[點列文]·삼각무늬·마름모무늬 등이 시문되어 있다.

특히 번개무늬는 쌍학리형 번개무늬로 불리어지며 두줄로 테두리를 긋고 그 안에 사선이나 점을 채워넣은 띠로 이루어진 것과 한줄의 점선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있다.

위의 번개무늬토기로 대표되는 쌍학리의 신석기문화는 압록강 하류의 신암리 청등말래유적(제1문화층)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나 시기적으로 약간 앞서고, 농포리·세죽리·토성리·장성리 등의 번개무늬가 출토되는 유적들과 같은 시기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연대는 신석기시대 후기 중엽에 해당된다.

참고문헌

「평북지방에서 발견된 원시유적」(김례환, 『문화유산』 1958년 4호, 과학원출판사)
「압록강유역 빗살무늬그릇유적의 특성에 관한 약간의 고찰」(리병선, 『고고민속』 1963년 1호, 과학원출판사)
「압록강유역 빗살무늬그릇유적들의 계승성에 대한 약간의 고찰」(리병선, 『고고민속』 1965년 2호, 사회과학원출판사)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번개무늬그릇유적의 연대에 대하여」(강중광, 『고고민속논문집』 6, 1975, 사회과학출판사)
집필자
안승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