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호군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경군(京軍)인 2군6위(二軍六衛) 중의 한 군단.
이칭
이칭
호분군, 친어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경군(京軍)인 2군6위(二軍六衛) 중의 한 군단.
내용

응양군(鷹揚軍)과 함께 2군으로서 왕의 친위군(親衛軍)·시위군(侍衛軍)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2군은 그 형성시기가 모호하여 이를 잘 알 수 없으나, 『고려사』에 의하면 1017년(현종 8)의 기록에 용호군이 처음 보이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설치되었을 것이다. 그것은 현종 때 거란의 침입, 김훈(金訓)·최질(崔質)의 반란 등으로 궁성의 시위군을 강화시키고 조직화할 필요를 느끼게 할 사유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2군은 응양군(鷹揚軍) 1령(領, 1,000명)과 용호군(龍虎軍) 2령으로 구성되었다. 용호군에는 최고 지휘관인 정3품의 상장군(上將軍) 1명, 종3품의 대장군(大將軍) 1명을 두었으며, 각 영에는 정4품의 장군(將軍) 각각 1명, 정5품의 중낭장(中郞將) 각각 2명, 정6품의 낭장(郎將) 각각 5명, 정7품의 별장(別將) 각각 5명, 정8품의 산원(散員) 각각 5명, 정9품의 위(尉) 각각 20명을 두었으며, 또한 대정(隊正)을 각각 40명씩 두었다. 충선왕이 용호를 호분(虎賁)으로 고쳤는데, 그 후 친어군(親禦軍)으로 고쳤고 그 후에 또다시 용호군으로 고쳤다. 한편, 금군의 존재를 주목하여 2군의 성격을 친위군으로 보는데 비판적인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전기 군제연구』(홍원기, 혜안, 2001)
「고려시대 견룡군의 설치와 임무」(김낙진, 『역사학보』 165, 2000)
「고려전기의 군사제도-중앙군조직을 중심으로-」(이재범,『한국군사사연구』창간호, 1998)
「高麗 二軍의 성립시기와 性格에 대한 재검토」(송인주, 『한국중세사연구』 4, 1993)
『고려군제사』(육군본부군사연구실, 육군본부, 1983)
『고려병제사연구』(이기백, 일조각,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