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단양(丹陽). 증조는 판서 우중겸(禹仲謙)이며, 아버지는 통정대부 우몽룡(禹夢龍)이다.
무과에 급제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병영중군(兵營中軍)으로서 쌍령(雙嶺)에 이르러 청군과 힘써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그 때 죽음에 앞서 노복(奴僕)인 귀동(貴同)에게 당부하기를 “나는 곧 죽는다. 너는 몸을 숨기고 있다가 나를 위하여 뼈라도 거두어다오.” 하니 귀동이 울면서 말하기를, “이미 주인이 나라를 위하여 죽을진대 소인(奴)인들 어찌 주인을 위하여 죽지 않을 수 있으랴.” 하면서, 곧 시체 옆에서 따라 죽었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져 조정에서는 사복시정(司僕寺正)이라는 벼슬을 내리고 정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