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탁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고려 말의 유학자 우탁에 관한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우탁 설화」는 고려 말의 유학자 우탁에 관한 설화이다. 그는 지방 수령으로 부임하여 음사를 타파하였지만, 팔령신 중 8번째 신은 살려 두어 당고개 서낭으로 남게 하였고, 사람들의 생활을 위해 개구리나 호랑이를 도술로 퇴치하였다고 한다. 이를 통해 「우탁 설화」에서 우탁은 문화영웅으로 그려진다.

목차
정의
고려 말의 유학자 우탁에 관한 설화.
내용

고려 후기 유학자인 우탁(禹倬, 1263~1342)은 유학에서 인정할 수 없는 민간신앙(民間信仰)의 행사인 음사(淫祀)를 타파하는 데 아주 강경한 자세를 보였기 때문에 관련 설화가 일찍부터 문헌에 올랐다. 『고려사』 열전에서는, 우탁이 영해사록(寧海司錄)으로 부임하였을 때 그 지방 사람들이 팔령신(八鈴神)을 극진히 섬기는 것을 보고 방울을 부수어서 바다에 빠뜨렸다 하였으며,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다른 문헌에도 이따금 보인다.

그런데 영해(寧海) 현지에서의 구전(口傳)은 더 구체적이고 흥미로운 내용을 갖추고 있다. 우탁이 팔령신 중에서 일곱을 없애자, 나머지 하나는 살려 달라고 빌어서 남겨 두었는데, 그 신이 지금 당고개 서낭이라고 한다. 8번째 신은 눈이 멀어서 동정을 얻었다고 하고, 눈이 멀었을 뿐만 아니라 신세가 가련한 할미라고 묘사되기도 한다.

이와 함께, 우탁은 『주역(周易)』의 이치를 깊이 공부하여 도술을 지녔다고 한다. 개구리 울음소리가 시끄러워서, 우탁이 개구리들에게 계속 그렇게 울면 멸종시키겠다고 글을 써서 보내자 개구리들이 동헌(東軒)에 모여들어 살려달라고 하였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호랑이가 사람을 해치지 못하도록 할 때도 같은 방법을 썼다고 한다.

의의와 분석

1번째 설화는 영웅이 요물을 퇴치하였다는 유형의 변형으로, 영웅 대신에 지방의 원님(사또)이 등장하고, 민간신앙을 누르고 유학에 의한 통치를 확립하고자 한 형태이다. 제주도 김녕사굴(金寧蛇窟) 이야기와 비슷하다. 그런데 팔령신을 다 없애지 않고 하나는 남겨 두어, 제한된 범위 안에서 관습을 용인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2번째 설화는 도술을 익힌 도인은 개구리나 호랑이 같은 동물까지 지배할 수 있다는 유형인데, 우탁이 그런 능력을 갖췄다고 하는 것이 흥미롭다. 사람들의 삶의 여건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동물을 다루는 능력을 펼치는 문화영웅(文化英雄)의 면모를 보여 주는데, 이러한 화소(話素)는 강감찬(姜邯贊) 같은 비범한 인물을 형상화하는 데에도 나타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구비문학대계』, 1980~1988)

단행본

조동일, 『인물전설의 의미와 기능』(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강등학 외, 『한국구비문학의 이해』(월인, 2016)
집필자
홍나래(성공회대학교 학술연구교수, 구비문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