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수당실기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하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하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48년 17세 손 진식(鎭植)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하겸진(河謙鎭)의 서문이, 권말에 남창희(南昌熙)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앞부분에 저자에 관한 도(圖) 3점, 권상에 시 1수, 소(疏)·차(箚)·계(啓) 각 2편, 권하는 부록으로 연보·세계도·가장(家狀)·행장·묘갈명·묘표·묘지명·봉안문·축문·기(記)·지(識)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간임사홍불의서용소(諫任士洪不宜敍用疏)」 2편은 1488년(성종 19)에 올린 것으로, 임사홍의 간사함을 논박, 그를 채용하는 것이 부당함을 주청한 내용이다.

「간입묘입주차(諫立廟立主箚)」 2편은 1498년(연산군 4)에 올린 것이며, 폐비 윤씨(廢妃尹氏)를 복위시키는 것이 의와 예에 어긋날 뿐 아니라 불효가 됨을 주장하고, 또 노사신(盧思愼)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임금을 농락하고 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논박한 내용이다. 불의에 대하여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직간하는 저자의 강직함을 보여주는 글이다.

그 밖에 「국사척록(國史摭錄)」은 실록이나 역사서에서 저자에 관한 사실을 뽑은 것으로, 주로 저자가 민폐와 고위관직자들의 권력남용 등을 정부에 보고한 내용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