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중앙군인 오위(五衛)에 속하여 있던 종2품의 관직.
이칭
이칭
오위장
목차
정의
조선시대 중앙군인 오위(五衛)에 속하여 있던 종2품의 관직.
내용

오위장이라고도 하였다. 위장은 오사(五司)가 오위로 바뀐 1457년(세조 3)에 설치되었으며, 처음에는 한 위(衛)에 한 사람이 각 위를 분담 통솔하였으나『경국대전』상으로는 12인의 문·무관이 겸직하게 되었다.

그러나 후기에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하게 되면서 위장도 정3품으로 격하되고 그 수도 1795년(정조 19)에는 15인으로 늘어 났다. 당시는 초기에 없었던 두 사람의 조사위장(曹司衛將)이 있어 사실상 유명무실한 오위의 사무를 주관하였는데, 처음에는 문관으로 임명하였다가, 뒤에 한 사람은 반드시 문관으로 임명하되 또 한 사람은 문음무관(文蔭武官)에서 통차(通差)하였다.

초기의 위장은 오위의 최고 지휘관으로 각 위에 속하여 있는 병종(兵種)을 통괄하고, 입직(入直)·행순(行巡) 및 시위(侍衛)는 물론 진법(陣法)·훈련 등의 최고 지휘 및 통제관으로서의 책임을 졌다. 조선 후기에 오위병제가 혁파됨으로써 관명만 남아 있어 주로 15인의 위장이 순번을 나누어서 입직·순경(巡更)의 책임을 졌다.

이들의 입직을 위하여 외소(外所) 및 남·서·동·북의 5개의 위장소가 있어 한 사람씩 교대로 입직하였으나, 외소는 조사위장이 주관하고 입직소는 금호문(金虎門) 안의 남소, 요금문(曜金門) 안의 서소, 선인문(宣仁門) 안의 동소, 경화문(景化門) 동쪽의 북소였으며 이 위장소를 중심으로 책임구역을 기병 등과 함께 순경하였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만기요람(萬機要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조선초기(朝鮮初期) 오위(五衛)의 형성(形成)」(천관우, 『근세조선사연구』,일조각, 1979)
집필자
차문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