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옥역전

고전산문
작품
개화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번역소설.
작품/문학
창작 연도
1895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유옥역전』은 개화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번역소설이다. 1895년이라는 매우 이른 시기에 『아라비안나이트(Arabian Night)』를 번역한 작품이며, 그 저본은 일본 메이지 시기 『아라비안나이트』의 대표적인 번역물로 추정된다.

정의
개화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번역소설.
구성 및 형식

1책. 국문 필사본. 1895년이라는 매우 이른 시기에 『아라비안나이트(Arabian Night)』를 번역한 소설이다. 일본 메이지 시기 『아라비안나이트』의 대표적인 번역물에 대한 중역(重譯) 작품이다.

내용

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우애가 극진하고 재주가 비범한 형제 왕이 있었다. 그들은 그들의 아내가 모두 간부(姦夫)와 내통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하여 두 형제는 실망하여 방랑길에 오른다. 아내의 부정한 행실을 방비하는 법으로, 왕비를 얻어서 하룻밤만 자고 그 이튿날 아침이면 왕비를 죽여 후환을 없애자고 한다. 동생인 안왕은 본국으로 돌아가 그 일을 시행하려다가 곧 후회하였고, 현숙한 왕비를 얻어 나라를 잘 다스렸다.

그러나 형인 천축왕은 갈수록 포악해졌고, 사방에서 미인을 널리 구해다가 하룻밤을 지내고 죽이기를 반복하였다. 그때 대신의 딸 유옥역이 자원하여 앞으로 나아갔다. 옥역은 동생 채봉을 불러 채봉에게 대궐로 들어와 있다가, 새벽에 자기에게 와서 영결하는 차에 이야기를 하나 해 달라며 간청하라고 일러 준다. 그러면 자신은 끝없이 이야기를 계속하고, 밤마다 이와 같이 하여 날이 오래가면, 자연히 왕의 마음을 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일러 준다.

그리하여 채봉은 옥역이 꾸민 그대로 실행했고, 그러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늙은 어부가 바다에서 고기 대신 구리 항아리를 낚아 올렸다. 그 속에서 몇백 년이나 갇혀 있던 거인 요괴가 나와서 오히려 바다에서 자신을 건져 준 어부를 죽이려 하였다. 이때 어부가 ‘모국왕과 김오반 의원(醫員)’ 이야기를 해 준다.

이러한 옥역의 계속되는 이야기 때문에 왕은 왕비를 죽이는 법을 여러 날 동안 제대로 행하지 못하였으니, 아예 이 법을 폐지한다고 명한다. 마침내 아름답고 총명한 옥역을 황후로 삼았다.

의의 및 평가

이 작품은 『아라비안나이트』의 번역물이다. 이 작품의 제목인 『유옥역전』이란 샤리아르(Sharryar)왕의 왕비로 들어간 셰에라자드(Scheherazade)의 우리나라식 이름 ‘유옥역’을 붙인 것이다. 유옥역에 대한 ‘전’이란 형식의 제목과 그 소설의 문체는 고전소설과 동일하다. 이 작품의 저본은 나가미네 히데키〔永峯秀樹〕의 『아라비아 모노가타리』와 이노우에 쓰토무〔井上勤〕의 『전세계일대기서(全世界一大奇書)』로 추정된다. 일본 메이지 시기 『아라비안나이트』의 대표적인 번역물 2종에 대한 중역으로 이 작품이 출현했다. 1890년대라는 이른 시기에, 한국에서도 일본어 번역본이 공존했고 활용되었던 상황을 잘 보여 준다.

참고문헌

원전

「유옥역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필사본)

단행본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연구』(을유문화사, 1975)
소재영, 『국문학 편답기』(아세아문화사, 1999)

논문

김영연, 「‘천일야화’의 한국 수용에 관한 연구」(『중동연구』 15,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1996)
박진영, 「아라비안나이트의 한국어 번역 계보와 「유옥역전」」(『한국문학연구』 5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염희경, 「아동용 『아라비안나이트』 정전 탄생의 기원과 알라딘」(원종찬 편, 『동아시아 한국문학을 찾아서』, 소명출판, 2015)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