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혁연 ()

유혁연 글씨
유혁연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형조참판, 우포도대장,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회이(晦爾)
야당(野堂)
시호
무민(武愍)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16년(광해군 8)
사망 연도
1680년(숙종 6)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선천부사|수원부사|공조참판|형조참판|우포도대장|공조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형조참판, 우포도대장,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회이(晦爾), 호는 야당(野堂). 경원부사 유용(柳溶)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삼도수군통제사 유형(柳珩)이다. 아버지는 유효걸(柳孝傑)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대대로 무신 집안에서 자랐으며, 1644년(인조 22) 무과에 급제해 덕산현감·선천부사를 역임하였다. 1653년(효종 4) 6월 황해도병마절도사로 승진되고, 이듬해에 수원부사로 부임했을 때 군병과 기계를 잘 정비해 효종으로부터 내구마(內廄馬)를 받았다.

당시 효종은 북벌을 염두에 두고 군비 확충 및 국방에 진력하던 때여서 이에 적합한 무장을 찾고 있었는데, 유혁연을 여러 문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약 승지로 발탁되었다. 그 뒤 이완(李浣)과 더불어 쌍벽을 이루면서 효종의 북벌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듬해 5월 충청병사로 부임했다가 11월에는 삼도수군통제사에 승서되었다. 1656년 10월 공조참판이 되었다가 곧이어 어영대장으로 승진되었다. 당시는 당쟁이 서서히 격화되던 때이기 때문에 남인 계열로 지목되어, 북벌에 대한 뜻은 같이하면서도 서인 계열인 송시열(宋時烈) 등은 유혁연을 싫어했다고 한다.

그러나 효종의 신임이 매우 두터워서 형조참판·한성좌윤 등을 역임하면서도 군직을 그대로 맡고 있었다. 김수항(金壽恒) 등의 문신들로부터 국왕에게 아뢰는 언사(言辭)가 외잡하고, 대신에 대한 예의가 없다는 탄핵을 받아 동지중추부사·지중추부사 등의 한직으로 밀려나기는 했으나 수도방어의 핵심 군영으로 발전한 어영청의 대장직은 물러나지 않았다.

1669년(현종 10) 3월 현종이 온양온천으로 요양차 행행할 때, 어영대장으로서 호위의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문신들의 탄핵으로 도제조(都提調)로 군직 일선에서 물러났다가 다시 우포도대장이 되었다. 현종 때에는 급료병인 5,000여 명의 훈련도감병 운영비가 지나치게 많이 들어가 이에 대한 논의가 많았다.

이에 호(戶)·보(保)로 편제되는 훈련별대(訓鍊別隊)를 창설해 급료병의 수를 줄여 재정의 곤란을 덜고 군액(軍額)은 그대로 유지시켰다. 이 훈련 별대는 뒤에 병조의 정초군(精抄軍)과 함께 금위영(禁衛營)으로 합설되었다.

이와 같은 공로로 그 해 10월 다시 공조판서로 승서되었으나 문인들의 반발로 중추부로 돌아갔다가 12월에 형조판서, 이듬해 8월에 공조판서가 되었다. 1673년 정월 지중추부사로 물러났다가 다시 훈련대장·한성판윤·포도대장을 역임하고, 그 해 12월 훈련도감으로 돌아와 군직에 머물렀다.

숙종 때에는 한성판윤·공조판서 등을 역임했으나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숙청될 때 이에 연루되어 경상도 영해로 유배되었다. 무예에 뛰어나 무신의 시사(試射)에서 줄곧 수석을 차지했으며 전략·군사 행정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

북방 민족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방략으로 북방 지역의 길가에는 여러 나무들을 무성하게 심어 기병들의 내습을 막자고 했고, 화차(火車)의 사용 권장, 병서(兵書)의 연구를 강력하게 내세웠다. 글씨나 죽화(竹畫)에도 뛰어났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신원되어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참고문헌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당의통략(黨議通略)』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