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에서는 육상원융(六相圓融)의 도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우리나라 및 중국의 화엄종 승려들은 이를 최고의 원리로 받아들여 깊이 연구하였다.
『화엄경』에는 총상(總相) · 별상(別相) · 동상(同相) · 이상(異相) · 성상(成相) · 괴상(壞相) 등 육상(六相)의 명칭만 열거되어 있다. 그러나 '법계무진연기'나 “하나 속에 일체가 있고 일체 속에 하나가 있으며, 하나가 곧 일체요 일체가 곧 하나[一中一切一切中一一卽一切一切卽一]”라는 등의 가르침을 통하여 육상원융의 사상을 일관되게 설명하고 있다.
육상원융은 후대의 화엄 사상가들이 개발한 참신한 대원리이다. 육상을 도표로 표현하면 [그림]과 같다.
이 원칙은 다수의 개별적 존재들로 구성된 전체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끊임없는 연기(緣起)의 존재로 있으며, 그 연기가 무애(無礙)한 경우에 있게 마련인 뚜렷한 원칙을 의미한다. 이 원리는 한 개인, 한 집안, 한 단체, 한 사회, 한 국가, 한 민족, 인류 전체, 우주 전체에 이르기까지 적용된다.
이 원칙은 우주 전체가 하나의 통일되고 유기적인 화합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총상 · 동상 · 성상의 삼상은 통일성, 유기적 동질성, 완전성의 양상들이고, 별상 · 이상 · 괴상의 삼상은 각각 앞의 삼상에 대응하는 것으로 모든 구성 분자들이 갖는 개별성 · 특이성 및 자족적인 겸허성의 양상들이다. 위의 것을 원융문(圓融門), 밑의 것은 항포문(行布門)이라고 한다. 이 원융문과 항포문의 각 상들이 서로 의존하는 관계로 이루어진 것이 우주 법계의 실상이다.
그러나 이상적인 우주 법계 본연의 실상은 타락한 인간의 심성으로 말미암아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라는 삼계(三界)로 전락된 양상을 띠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육상은 수행상의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육상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는 '일즉일체 · 일체즉일의 즉(卽)의 관계와 일중일체 · 일체중일의 중(中)의 관계'로 표현되기도 하며, 무엇보다도 자신의 깊은 정신적 자각에서 실현된다고 본다.
“마음이 맑으면 국토가 맑아지고 마음이 더러우면 국토가 더러워진다”라고 할 때, 맑은 국토는 육상의 원융 관계가 충족된 것을 말한다. 그때의 맑은 마음이란 바로 이 즉과 중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이루는 마음을 두고 한 말이다.
이 육상의 원리를 통하여 인간의 의식 속에 깊숙이 침투한 개인주의적 사고 방식을 극복할 수 있고, 훌륭한 개성적 인간이 전체적인 동질성을 위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다. 개인 또는 개개의 구성 분자들이 어떤 종류의 소외도 당하지 않고 완전히 존중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전체의 통일성을 달성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또한, 이 육상의 원리는 원융문과 항포문이 원융(圓融)하게 귀일(歸一)하는 곳에 대법계(大法界)의 진리가 환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