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3·1운동 ( )

근대사
사건
1919년 3·1운동때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9년 3·1운동때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
개설

음성군 내의 독립만세운동은 3월 28일 읍내에서 서당생도 수 명이 독립만세를 부른 것을 시작으로, 그 뒤 4월 11일까지 각 면에서 거의 한 차례씩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경과와 결과

음성군 내의 독립만세운동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4월 1일김을경(金乙卿)·이중곤(李重坤)·권재학(權在學)·추성렬(秋成烈)·이교필(李敎弼) 등이 주동하여 전개한 소이면 한내장터의 만세운동이다.

4월 1일 수 천명의 군중이 모인 가운데 진행된 독립만세시위운동은 소이면사무소에 쇄도하여, 면장 민병식(閔秉植)에게 독립만세를 선창케 함으로써 기세를 올렸다. 그러나 이때 출동한 일본경찰에 의해 김을경·이중곤 등 주동자 9명이 구금되었다. 이에 시위군중은 주재소로 달려가 그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창문을 파괴하는 등 강력한 항의를 하였다. 이때 일본경찰은 군중에게 무차별 사격을 감행하여 12명이 사망하고, 40여 명이 부상하였다.

음성읍에서는 3월 28일 오후 2시, 서당생도들을 주축으로 한 만세운동에 이어, 4월 6일 밤 9시 500여 명의 시위군중이 산 위에 봉화를 올리고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삼성면에서는 이성교(李聖敎)·임백규(林白奎)·유해길(柳海吉) 등이 주동이 되어 3월 20일 인근 산 위에 봉화를 올리며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4월 2일 오후 8시경 600여 명의 면민이 각 동리별로 만세운동을 전개하고, 천평리에 있는 면사무소에 모였다. 이어 이들은 낫과 몽둥이로 면사무소 현관과 유리창을 부수고, 경찰관주재소로 몰려가서 독립만세를 외친 뒤 새벽 2시경 해산하였다.

맹동면에서는 3월 20일 천도교인 김동환(金東煥)이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봉화를 올리며 만세운동을 전개한 데 이어, 4월 2일쌍정리에서, 3일마산리(麻山里)·쌍정리에서 각각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감곡면에서는 4월 1일부터 4일까지 주촌리·문촌리 주민 수백명이 응봉산(應鳳山)과 면사무소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였고, 대소면·금왕면 내송리에서는 4월 2일, 원남면에서는 4월 5일 보천장터에서, 11일주봉리에서 각각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독립운동사』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