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직 ()

근대사
인물
개항기 때, 대사간, 공조참의, 호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공우(公右)
도헌(道軒), 만회당(萬悔堂)
이칭
석로(奭老)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2년(순조 22)
사망 연도
1905년(고종 42)
본관
한산(韓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대사간, 공조참의, 호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초명은 이석로(李奭老). 자는 공우(公右). 호는 도헌(道軒)·만회당(萬悔堂). 진사 이형부(李馨溥)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시문에 뛰어나 문명을 얻었으나 과거에는 계속 낙제하였다. 1881년(고종 18)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이 되었다가 1883년 품계가 6품이 되자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 해 수찬이 되어 대원군을 탄핵한 유생 최익현(崔益鉉)의 처벌을 상소한 봉조하(奉朝賀) 강로(姜㳣)를 파직하고 유배시킬 것을 주장하는 옥당(玉堂)의 연차(聯箚)에 참여하였다.

그 뒤 교수·헌납·동부승지·예조참의 등을 역임하고, 1885년 분병조참지(分兵曹參知)를 거쳐 대사간에 임명되었다. 이어 공조참의·호조참의를 지냈으며, 1890년에는 부호군으로 문무제관과 함께 종척집사(宗戚執事)를 맡았다.

그 뒤 정국이 혼란하여지자 낙향하여 시문을 즐겼다. 1902년 기로사(耆老社)에 들어 가자(加資)되었으며,1904년에는 장례원소경(掌禮院少卿)에 임명되었으나 노령으로 사퇴하였다. 이대직은 1905년 11월 6일에 사망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일성록(日省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요양집(要養集)』
『운양집』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