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원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역대임금의 어진(御眞) · 선적(璿籍) · 어필(御筆) · 어제(御製) · 교명(敎命) · 전장문적(典章文籍) 등을 보관하는 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역대임금의 어진(御眞) · 선적(璿籍) · 어필(御筆) · 어제(御製) · 교명(敎命) · 전장문적(典章文籍) 등을 보관하는 관서.
내용

창덕궁 내에 설치되어 이 외에도 금보(金寶)·옥인(玉印)·옥책(玉冊)·죽책(竹冊) 등도 관리하였다.

1694년(숙종 20) 종정시(宗正寺)의 환장각(煥章閣)에 어제·어필·유교(遺敎) 등을 보관하려 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하였고, 정조가 즉위하자 창덕궁의 금호문(金虎門) 안 북원(北苑)에 새로이 건물을 짓고 설치한 규장각에서 이를 관할하게 하였는데, 1781년(정조 5) 이들을 보관하는 정청(正廳)에 ‘摛文之院(이문지원)’의 4자를 어필로 써서 붙인 데에서 이같은 명칭이 나타났다.

이곳에 보관된 물품은 4년마다 한 차례씩 바람을 쐬고 볕에 말려 손상되지 않게 하였는데, 이러한 업무는 직각(直閣)이나 대교(待敎)가 맡았다.

정조는 선원전(璿源殿) 황단(皇壇)에 참배할 때마다 여기에서 머물렀는데, 전정(前庭)에는 동제측우기(銅製測雨器)가 있고, 학 한쌍을 기르기도 하였다. 소속건물로 대유재(大酋齋)·소유재(小酋齋)가 있어 모두 임금의 재실(齋室)로 사용되다가 뒤에 규장각검서관(奎章閣檢書官)의 직소(直所)로 되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궁궐지(宮闕志)』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