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혁 ()

목차
관련 정보
규일고
규일고
과학기술
인물
조선후기 『규일고』, 『차근방몽구』, 『산술관견』 등을 저술한 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이칭
이칭
지수(志叟)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10년(순조 10)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합천(陜川)
주요 관직
계사|주별제|운과정
목차
정의
조선후기 『규일고』, 『차근방몽구』, 『산술관견』 등을 저술한 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개설

이상혁(李尙爀)은 홍정하(洪正夏)와 함께 조선의 가장 위대한 수학자이다. 이상혁은 1830년 운과와 1831년 주학 취재를 합격하여 주별제(籌別提, 종6품)와 운과정(雲科正, 정3품)을 지냈다. 남병길(南秉吉)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여 수학과 천문학에 관한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생애

본관은 합천(陜川). 자는 지수(志叟). 할아버지는 이만구(李晩求)이며, 아버지는 이병철(李秉喆)로 모두 계상(計上)을 지냈다. 어머니는 의과정(醫科正)을 지낸 변중관(卞重觀)의 딸이다. 처는 한응성(韓應誠)의 딸이고, 후처는 역전어(譯前啣) 한범오(韓範五)의 딸로, 주로 산학 계통의 전통적인 중인 가문이다.

이상혁의 5대조 이영현부터 8대에 걸쳐 모두 59명이 주학 취재에 합격하여 수학자의 집안을 형성하였다. 이영현의 아들 이태윤은 홍정하의 동서이다. 이영현과 이태윤 모두 홍정하의『구일집(九一集)』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이상혁의 부친 이병철(李秉喆)은 홍정하의 조카 홍이록의 사위이나, 이상혁의 외조부는 변중관(卞重觀)이다.

이상혁의 아들 이시용(李時用)도 1861년 운과와 1871년 주학 취재에 합격하고 계사(計士, 종8품)와 운과정을 지내고 통정대부의 품계를 받았다.

활동사항

예조판서를 지냈고 천문학의 제일인자이며 대수학자였던 남병길(南秉吉)과 서로 저서의 서문을 주고받을 정도로 긴밀한 사이를 유지하며, 과거의 형이상학적 수리관에서 벗어나 함께 도해법(圖解法)을 수용하는 등 공동 연구를 하였다.

주요저술로는 천문서인 『규일고(揆日考)』(1850)와 수학서인 『차근방몽구(借根方蒙求)』(1854), 『산술관견(算術管見)』(1855), 『익산(翼算)』(1869)이 있다.

남병길과 김득언(金得彦) 등이 서문을 쓴 『규일고』는 조선에 적합한 해시계를 만드는 법과 서광계(徐光啓)의 『숭정역서(崇禎曆書)』(1644)부터 『역상고성(曆象考成)』(1721)에 이르는 책에 들어있는 결과들을 조선의 북극고도에 따라 적용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위치 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해시계의 단점을 보완하여, 직접 해그림자를 측정해서 우리나라 절후와 시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구표(晷表)를 고안하는 업적을 남겼다.

수학서인 『차근방몽구』는 『수리정온(數理精薀)』 (1723)에 있는 차근방비례의 단점을 해소하여 『수리정온』의 모든 분야에 걸친 문제를 선택하여 차근방으로 방정식을 구성한 것이고, 『산술관견』은 기하와 삼각법을 포함하는 문제들을 다루는데, 천원술을 사용하여 방정식을 구성하였다.

또한 역지한의 방정식론을 부록으로 포함하는 나사림(羅士琳)의 『사원옥감세초(四元玉鑑細艸)』(1835)를 통하여 주세걸의 퇴타술을 깊게 연구하였다. 송~원 시대의 방정식론에 관한 「정부론(正負論)」과 퇴타술을 연구한 「퇴타설(堆垜說)」을 포함하는 『익산』(1869)은 홍정하의 『구일집』과 함께 조선의 수학을 대표하는 산서이다.

이 외에도 저자 이름은 들어있지 않지만, 그의 저서로 추정되는 『사원옥감(四元玉鑑)』, 역지한의 방정식론과 『구일집』을 연구한 『신편산학계몽주해(新編算學啓蒙註解)』(1662)가 있다.

참고문헌

『사옥옥감(四元玉鑑)』(연세대학교 도서관)
『신편산학계몽주해(新編算學啓蒙註解)』구일집부(九一集附)(영남대학교 도서관)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수학편』1-10 (김용운편, 여강출판사, 1985)
『數理精蘊』(景印 文淵閣四庫全書 子部 天文算法類, 799-801)
『新法算書』(徐光啓, 景印 文淵閣四庫全書 子部 天文算法類, 788-789)
『曆象考成』(允祿, 何國宗, 景印 文淵閣四庫全書 子部 天文算法類, 790-792)
『中國歷代算學集成』(靖玉樹 編勘, 山東人民出版社, 1994)
『中國科學技術典籍通彙』數學卷(任繼愈 主編, 河南敎育出版社, 1993)
관련 미디어 (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