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백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내용 요약

「이장백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홍순언 고사」를 수용한 작품으로, 송도에 사는 역관 이장백이 중국 북경에 들어가 아버지의 장례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몸을 파는 계 낭자에게 은혜를 베풀고 이후 황후가 된 그녀의 도움으로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서지사항

한문 필사본으로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 도서관 이마니시류문고[今西龍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책 표지에는 "丁香傳(정향전)"이라는 표제와 함께 "附李長白傳(부이장백전)"이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일석화(一夕話)」 · 「정향전」 · 「이장백전(李長白傳)」이 합철되어 있다. 『조선학보(朝鮮學報)』 90집에 전권을 영인으로 소개하고 오오타니 모리시게[大谷森繁]가 끝에 간략한 해제를 붙였는데, 현재 이 작품은 유일본으로 알려져 있다.

내용

만력주1 연간(萬曆年間)에 송도에 거주하는 이장백이라는 역관이 연행사(燕行使)를 수행하기 위하여 중국의 북경(北京)에 들어가게 된다. 마침 송경유수(松京留守)가 돈 천냥을 주며 물건을 사 오라는 부탁을 하여 거금을 갖고 가던 도중에, 북경에서 최덕(崔德)이라는 자를 통해 아버지의 장례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몸을 파는 계 낭자(桂娘子)를 만나게 된다.

장백은 그녀의 딱한 처지를 동정해 몸값 백냥뿐만 아니라 송경유수의 돈 천냥까지 주게 된다. 이후 귀국한 이장백은 가족과 함께 돈 값에 팔려 노비 생활을 하게 된다. 한편, 계 낭자는 그 뒤 황후로 간택되었고, 장백의 은혜를 잊지 못하고 인편에 주2를 보내 다음 주3에 함께 올 것을 부탁한다.

그 무렵 국경을 넘은 조선인이 중국인을 죽이고 도망한 사건이 발생하였고, 황제는 조선국 왕에게 범인을 잡아 엄벌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던 중 장백이 사신을 따라 북경에 들어가 계 황후를 만나게 되고, 계 황후가 천자를 설득해 이 사건을 주14에 붙이고, 오히려 장백에게 2품의 작위와 주6의 벼슬을 내린다.

이러한 소식이 조선에 전해지자 국왕은 압록강까지 환영의 행차를 보내고, 귀국한 이장백에게 판서(判書)의 벼슬을 내리고, 그를 안녕군(安寧君)에 봉하여 후하게 사례한다. 계 황후는 그 뒤로도 계속 안녕군의 안부를 묻고 예물을 보내 은혜에 보답한다.

의의와 평가

「이장백전」은 중국에 간 역관 홍순언(洪純彦, 1530~1578)이 부모의 장사를 지내기 위해 자신의 몸을 파는 여인에게 은혜를 베풀고, 이후 그 여인이 고관의 부인이 되어 종계변무(宗系辨誣)주10과 같은 국가적 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줌으로써 홍순언에게 은혜를 갚는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홍순언 고사」를 수용하고 있다. 「홍순언 이야기」는 『어우야담(於于野譚)』을 비롯한 여러 야담집과 각종 문헌에 수록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이 작품을 비롯하여 「계씨보응록」, 「홍언양의연 천금설(洪彦陽義捐 千金說)」, 「마원철록」에서 소설화되었다.

이 작품은 효나 주13 등의 인간다운 이념 실현을 위해 남녀 주인공이 겪는 '고난의 양상'과 '그것의 환상적 극복 양상'이 선명하게 부각된다. '의로운 베풂 때문에 남성 주인공이 겪는 고난'과 '이를 계기로 한 여성 주인공의 신분 상승'이 대비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한편, 이 작품에는 계 황후의 적극적 행위가 두드러진다. 계 황후는 장백과 이별하며 사은죽(賜恩竹)을 반으로 쪼개어 나누어 가졌다가 다시 만날 때 이를 맞추어 보고 증거로 삼고자 하며, 장백을 만나기 위해 직접 보은단(報恩緞)을 짜 놓고 기다리기도 한다. 또한 조선 사신이 묵는 옥하관(玉河館)에 직접 사람을 보내 장백의 소식을 묻기도 한다.

참고문헌

논문

김현룡, 「왕경룡전에 대한 고찰」(『월암 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77)
박일용, 「홍순언 고사를 통해서 본 일화의 소설화 양상과 그 의미」(『국문학연구』 5, 국문학회, 2001)
大谷森繁, 「一夕話·丁香傳·李長白傳資料橙びに解題」(『朝鮮學報』 90, 조선학회, 1978)
주석
주1

중국 명나라 신종의 연호(1573~1619). 우리말샘

주2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우리말샘

주3

‘사신 행차’를 줄여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6

옛 중국에서, 전군을 지휘하고 통솔하던 벼슬. 우리말샘

주8

후하게 사례함. 또는 그 사례. 우리말샘

주10

군대의 지원을 청하거나 출병하기를 청함. 또는 청하여 온 군대. 우리말샘

주13

정의감에서 우러나오는 기개(氣槪). 우리말샘

주14

묻지 아니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