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총파업 ()

목차
사회구조
사건
1948년 2월 7일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약칭 전평)가 남한 지역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위한 총선 준비를 위해 입국한 유엔조선위원단을 반대하여 일으킨 파업 투쟁.
이칭
이칭
2·7 구국투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48년 2월 7일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약칭 전평)가 남한 지역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위한 총선 준비를 위해 입국한 유엔조선위원단을 반대하여 일으킨 파업 투쟁.
내용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던 전평은 미국 주도로 유엔에 의해 결정된 ‘남북총선거’를 준비하기 위한 유엔조선위원단의 방한을 반대했다. 1948년 1월 7일 유엔조선위원단이 방한하자 전평 산하 일부 노조는 파업투쟁을 하였고, 금속, 출판, 어업, 식료, 토건, 일반봉급자, 전기, 철도, 광산, 해원 등 전평 산하 노조들이 유엔조선위원단의 활동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런 상황하에서 미군정의 탄압으로 조직이 약화되고 지하 활동을 하고 있었지만 전평은 2월 7일 ‘유엔조선위원단항의남조선총파업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이 총파업위원회는 ‘토지의 무상몰수, 무상분배, 적산과 중요 산업의 국유화와 인민의 관리’ 등의 경제적 요구와 ‘단선단정의 반대와 외국 군대 철퇴 하 남북통일 자주정부 수립’ 등의 정치적 요구와 주장이 담긴 「총파업 선언서」와 「항의서」를 유엔조선위원단에 보냈고, 공장과 기업체는 파업을 하고 학교는 동맹휴학을 단행하는 형태로 총파업을 진행하였다. 전국 각지에서 파업·시위·동맹휴학 등이 일어났으며 부분적으로 통신절단·교통두절의 사태가 일어났다. 2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전국적인 투쟁에는 파업투쟁 80,471명, 동맹휴학투쟁 53,357명, 시위 575,119명, 집회 729,407명, 봉화 29,588명, 쌀투쟁 9,375명이 참여하여, 총 약 150만 명이 동참하였다. 전국적으로 전단(傳單) 3,793,190장이 뿌려졌고, 벽보백서가 240,727개소에 게시되었다. 이 총파업으로 57명이 사망했고, 146명이 중경상을 입었고, 10,854명이 검거되었다.

2·7 총파업은 미군정의 진압으로 실패하였고, 2월 26일 미국이 주도하는 유엔소총회는 남한지역만의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 수립을 결정했다. 이에 반대하던 전평은 2·7총파업의 실패와 그로 인한 조직의 피해에도 불구하고, 남한 지역만의 5·10 총선거에 반대하여 5·8 총파업을 일으킨 후 조직이 와해되게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노동운동사-미군정기의 노동관계와 노동운동: 1945∼1948』(박영기·김정한, 지식마당, 2004)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안태정, 현장에서 미래를, 2002)
『한국노동조합운동사』(한국노동조합총연맹, 1979)
『한국노동운동사』(김사욱, 산경문화사, 1974)
집필자
류제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