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기국설 ()

목차
유교
개념
이와 기에 대한 이이의 독창적인 학설. 유교교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이와 기에 대한 이이의 독창적인 학설. 유교교리.
내용

이이는 이기에 관한 성혼(成渾)의 서한을 받고 평소에 생각하던 이통기국설을 주장하게 되었는데, 서경덕(徐敬德)의 기일원설(氣一元說)을 부정하고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이론을 체계화하였다. 이통기국설은 주희(朱熹)의 이동기이설(理同氣異說)에 그 연원을 둔 것이다.

주희의 이동기이설은 정이(程頤)의 이일분수설에서 유래한다. 이이는 이를 무형(無形)·무위(無爲)라 하고 기를 유형(有形)·유위(有爲)라 함으로써, 이무위(理無爲)와 기유위(氣有爲)로서는 기발이승(氣發理乘)을 주장하고, 이무형(理無形)과 기유형(氣有形)으로서는 이통기국을 주장하였다. 즉 이는 무형이요 기는 유형이므로 이는 통(通)하고 기는 국(局)한다는 것이다.

이통기국설은 서경덕의 기설(氣說)과 비교함으로써 더욱 분명해진다. 서경덕은 형이상과 형이하를 모두 기로 본다. 그리하여 기를 형이상과 형이하로 나누어 이것을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이라 한다.

그리고 형이상의 근원적인 기 가운데 자발적인 작용이 있어서 스스로 그러한 것이라고 하며 ‘자능이(自能爾)’라든가 ‘기자이(機自爾)’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 서경덕의 기설은 기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에서 이이의 이기설과 유사성이 있다. 또한, 서경덕이 보고 있는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의 묘처(妙處)는 이이가 동조하고 있는 점이다.

그러나 이이는 이를 기의 주재(主宰)로, 즉 이는 기를 타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서경덕은 형이상과 형이하를 모두 기로 파악해 이것을 선천과 후천, 본말과 작용으로 보고 이른바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을 전자로, ‘태극동이생양(太極動而生陽)’을 후자로 보았으나, 이이의 경우 이는 형이상자고 기는 형이하자며, 태극은 이고 음양은 기다. 이것은 이이의 이기설이 전통적인 성리학의 입장에 서 있음을 나타낸다.

이이는 서경덕에 대해 기의 극묘처(極妙處)는 알았어도 이의 구극성(究極性)을 투철하게 밝히지 못한다고 평가하였다. 이이는 서경덕이 담일청허(湛一淸虛)한 묘(妙)에 대해 기가 ‘물(物)에 있지 아니함이 없다(無物不在).’고 생각한 것은 그 위에 이통기국의 이치가 있음을 간과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통기국설에 따르면, 이는 본래 선후도 없고 형태와 작용·운동 능력도 없지만 모든 사물에 구비되어 있는 본연지묘(本然之妙)다. 이것을 이통(理通)이라 하며 이때의 이통은 보편자라는 뜻이다.

그런데 기는 본래부터 선후 본말이 있고 청탁(淸濁)·후박(厚薄)·조박(糟粕)이 있으며, 편정(偏正)·승강(升降)·비양(飛揚) 등과 같은 작용을 행한다. 그러므로 만물이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 기는 이(理)와 달리 모든 사물에 통할 수 없는 유한자(有限者)며 개체에만 국한된 것이기 때문에 기국(氣局)이라는 것이다.

이이는 위와 같은 이통기국을 설명하는 본보기로 “모난 그릇과 둥근 그릇은 서로 다르지만 그 속에 담겨진 물은 서로 같다.”고 하였다. 즉, 물은 그릇의 모양에 따라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릇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보일 뿐이지 물의 본연지묘는 다를 까닭이 없다는 것이다.

이이에 의하면, 우주는 이에 의해 통일되어 있는 동시에 천지지리(天地之理)나 만물지리(萬物之理)나 오인지리(吾人之理)가 모두 공통적이다. 기가 하나의 근본인 것은 이의 통(通) 때문이요, 이가 만수(萬殊)인 것은 기의 국(局)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주희도 일찍이 이동기이를 말한 바 있고, 또 이통이나 기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일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을 체계적으로 명료하게 밝힌 것은 이이의 이통기국설이다. 이이의 이통기국설은 기정진(奇正鎭)의 이일분수설과 임성주(任聖周)의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과 더불어 한국 성리학의 중요한 특징을 나타낸다.

참고문헌

『율곡사상론문집』(율곡문화원, 1973)
『한국철학사』(류명종, 일신사, 1975)
『한국유학의 철학적 전개』(배종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5)
「십륙세기 한국 성리학파의 역사의식에 관한 연구」(이동준,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