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연론 ()

목차
관련 정보
유교
문헌
한학자 정인보(鄭寅普)가 1933년 동아일보에 연재한 양명학에 관한 논문. 1972년에 동명으로 간행된 학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학자 정인보(鄭寅普)가 1933년 동아일보에 연재한 양명학에 관한 논문. 1972년에 동명으로 간행된 학술서.
내용

1933년 9월 8일부터 12월 17일까지 『동아일보』에 발표하였다. 그 뒤 1955년 8월 20일 문교사(文敎社)에서 『담원국학산고(薝園國學散藁)』를 간행하면서 제4편에 게재하였다.

1972년 7월 31일 삼성문화재단(三星文化財團)에서 『양명학연론』을 간행하였고, 1983년 연세대학교 출판부에서 『담원정인보전집(薝園鄭寅普全集)』 6권을 간행하면서 제2권에 수록하였다.

내용은 ① 논술의 연기, ② 양명학이란 무엇인가, ③ 양명본전(陽明本傳), ④ 대학문(大學問) 발본색원론(拔本塞源論), ⑤ 양명문도급계기한 제현(陽明門徒及繼起─諸賢), ⑥ 조선양명학파, ⑦ 후기 등의 순서로 되어 있다.

「논술의 연기」에서는 1930년대의 민족 대중에게 지행합일의 실천적인 정신을 호소하고 조선 주자학파의 정신적 위축 양상을 지적하면서 보다 실천적 행위를 촉구하였다. 또한, 실천적 행위의 추구는 명리심(名利心)에 사로잡혀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 것이다.

「양명학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양명학의 본질이 양지(良知)에 있다고 규정하고, 치양지(致良知)는 양명이 주장하는 것으로 심즉리(心卽理)로 전개된다고 간결히 설명하였다.

또한, 치지(致知)는 그 자체 완성이나, 지(知) 이외에 다른 본체가 없으므로 책에서만 찾아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양명본전」에서는 왕수인(王守仁)의 생애를 통해 그의 학문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고 양지론을 왕양명이 어떻게 실천했는지를 밝히고 있다.

「대학문 발본색원론」에서는 왕양명의 두 논문을 소개하고 있다. 대학문에서는 대학의 도가 어째서 명덕을 밝히는 데 있는지, 어째서 백성을 친하는 데 있는지, 어째서 지선(至善)에 머무르는 데 있는지, 그리고 격물치지에 대한 이론과 지(知) · 행(行)이 결코 둘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

발본색원론에서는 양지의 참 뜻이 무엇이며 친민과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양지가 감통하지 못하는 폐해는 사계공리(私計功利)로 치달아 친민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이며, 그 뿌리를 뽑고 근원을 막아야 한다는 것을 상세히 밝히고 있다.

「양명문도급계기한 제현」에서는 양명학의 전개를 사상사적으로 다룬 한편, 그 실천적 혁명 의식을 역사적으로 구명하였다. 여기서는 특히 황종희(黃宗羲)의 반청정신(反淸精神)이 강조되었고, 장유(張維) · 정제두(鄭齊斗) · 신작(申綽) · 이광사(李匡師) · 이영익(李令翊) · 이충익(李忠翊) · 홍대용(洪大容) 등 주요 인물의 사상을 소개하였다.

「후기」에서는 명말청초(明末淸初)와 조선시대의 양명학을 되살리려는 정신을 밝히고 있다. 요컨대, 『양명학연론』은 조선학자들의 실속 없고 거짓됨을 비판하고, 양명학의 본지(本旨)를 밝히고, 명명덕 · 친민 · 지선의 참된 의의를 밝히고, 중국의 양명학사와 조선 양명학의 줄거리를 해명한 값진 저서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담원국학산고(薝園國學散藁)』(문교사, 1955)
『양명학연론외(陽明學演論外)』(삼성문화재단, 1972)
『담원정인보전집(薝園鄭寅普全集)』(연세대학교 출판부, 1983)
『한국철학사』(한국철학회 편, 동명사, 198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