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판본. 1631년(인조 9) 증손 구징(久澄)이 초간본을 보완하여 간행하였다. 권말에 구징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부(賦) 9편, 사(辭) 1편, 시 45수, 권2에 책(策) 3편, 기(記)·해(解)·제문·송(頌) 각 1편, 부록으로 감구유부후서(感舊遊賦後序)·증이진사목(贈李進士穆)·만사형중조기화개렴(挽舍兄重遭奇禍改廉)·유자광전(柳子光傳)·무오사화사적·무오당적(戊午黨籍)·묘표·보유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책 1편에서는 요즈음 비바람이 고르지 않고 물난리와 가뭄이 잇따르는 것은 하늘의 탓이 아니라 사람의 잘못으로 인한 것이므로, 임금과 모든 신하들이 각자 맡은 바 임무에 충실하면 이와 같은 재해가 없어질 거라고 강조하였다.
책 2편에서는 국가의 치란흥망은 운명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노력 여부에 달려 있다고 주장하였다.
책 3편에서는 인재는 국가의 이기(利器)로서 선정의 근본이므로 인재 양성이 급선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정치의 근본은 인재를 등용하는 데 있고, 인재 등용의 근본은 어진 재상을 얻는 데 있다고 강조하였다.
부 중 「허실생백(虛實生白)」에서는 장자(莊子)의 허실생백을 따져보면, 맹자가 말한 호연(浩然)과 주자가 말한 허령불매(虛靈不昧)와 같으므로 그 말만은 취할 만하다고 하였다. 시 중 「차운오수(次韻五首)」는 윤필상(尹弼商)을 탄핵하다가 공주에 유배되어 있을 때 지은 것으로 우국충정의 뜻이 서려 있다.
「무오사화사적」에는 무오사화의 전말과 처벌내용 등이 들어 있고, 「무오당적」은 김종직(金宗直)·김일손(金馹孫)·권오복(權五福)·권경유(權景裕)·이목·허반(許盤) 등의 학통, 인적 사항, 처형방법의 종류 등을 기록한 것으로 무오사화에 관계되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