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자상(子常), 호는 희원(希園, 喜園) 또는 송석(松石). 화원(畵員)이었던 이의양(李義養)의 아들이다. 그도 화원이었으며 군수를 지냈다. 19세기의 대표적인 초상화가이다.
1846년 헌종어진도사(憲宗御眞圖寫)의 주관화사(主管畵師)로 활약하였으며, 1852년 철종어진도사에, 1861년 철종어진 원유관본도사(遠遊冠本圖寫)에, 그리고 1872년 고종어진도사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초상(肖像) 실력 때문에 조중묵(趙重默)과 더불어 당시 초상화의 쌍벽으로 지칭되었다. 운현궁 소장의 이하응(李昰應) 초상 다섯 점은 그의 초상화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그는 전기(田琦), 김수철(金秀哲), 허유(許維), 유숙(劉淑), 조중묵, 유재소(劉在韶) 등과 함께 김정희(金正喜)의 화평(畵評)을 통하여 그림 지도를 받기도 하였다. 그의 그림에 대하여 김정희는 “비록 출진(出塵)의 상(想)이 모자라나 선명하여 풍치가 있다”고 하였으며 또 “묵법(墨法)이 몸에 익어 있다”고 하였다.
현존하는 작품들은 산수, 인물, 화조(花鳥), 절지(折枝) 등 다방면에 걸쳐 있는데, 대체로 전형적인 남종화법(南宗畵法)과 김홍도(金弘道)의 화풍을 따르고 있다. 바위, 인물, 나무의 묘사에서 특히 김홍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부드럽고 투명한 필치의 사용, 묵법의 강약, 농담(濃淡)의 사용 등에서는 그의 탁월한 재능을 엿볼 수 있다.
대표작으로는 1971년 보물로 지정된 「김정희영정」(1857,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방화수류도(訪華隨柳圖)」,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 「의암관수도(倚巖觀水圖)」(이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추림독서도(秋林讀書圖)」(간송미술관 소장), 「이유원상(李裕元像)」(개인소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