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함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인물
조선후기 「쌍작도」, 「해암응립도」, 「과전초충도」 등을 그린 화가.
이칭
은호(恩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33년(인조 11)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전주
목차
정의
조선후기 「쌍작도」, 「해암응립도」, 「과전초충도」 등을 그린 화가.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은호(恩湖). 원종(元宗)의 손자이며, 능원군 보(綾原君俌)의 아들로서 영은군(靈恩君)을 제수받았다. 알려진 경력은 없으며 가야금을 잘 치고 그림에 능숙하였다고 한다.

그림은 까치와 매를 소재로 한 화조(花鳥)와 초충(草蟲)을 즐겨 그렸다. 그의 유작들은 이징(李澄)과 조속(趙涑)을 중심으로 전개된 조선 중기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이 시기의 전형적인 수묵화조화풍(水墨花鳥畫風)과 장식적인 원체화풍(院體畫風), 그리고 신사임당(申師任堂)에 의해 형성된 한국적 초충도의 전통을 반영하고 있으나, 그림의 격조는 그리 높지 못한 편이다.

유작으로 「쌍작도(雙鵲圖)」(개인 소장)와 「해암응립도(海巖鷹立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과전초충도(瓜田草蟲圖)」(개인 소장)·「추금서당도(秋禽棲棠圖」(간송미술관 소장) 등이 전한다.

참고문헌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한국(韓國)의 화조화(花鳥畵)」(홍선표, 『한국의 미 18 -화조사군자-』, 중앙일보사, 198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홍선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