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순 ()

정치·법제
인물
일제강점기 때, 항일무장투쟁 활동으로 투옥되었으며, 해방 이후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노동당 비서국 대남 담당 비서 등을 역임한 관료.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7년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함경북도 길주
관련 사건
혜산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때, 항일무장투쟁 활동으로 투옥되었으며, 해방 이후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노동당 비서국 대남 담당 비서 등을 역임한 관료.
생애 및 활동사항

1907년 함경북도 길주에서 태어났다. 1930년대 초반 함경북도 길주군의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에 참여하였다. 1936년, 1937년에 있었던 조국광복회 국내와 장백현 일원의 항일무장투쟁 지원그룹 조직이 붕괴되는 ‘혜산사건(惠山事件)’을 계기로 검거되어 옥중에서 해방을 맞았다. 이 사건 주모자로 1941년 처형된 이제순(李悌淳)이 친동생이다.

1946년 북조선노동당 길주군당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47년 북조선노동당 함북도당 위원장을 맡았다. 1948년 3월 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함경북도 인민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50년 노동당 자강도당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54년 노동당 검열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55년 4월 체코슬로바키아 해방 1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였고, 같은 해 8월 제2차 내각의 국가겸열상(國家檢閱相)에 임명되었다.

1956년 2월 소련공산당 제20차 대회에 북한 대표로 참석하였다. 같은 해 4월 노동당 제3차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 겸 조직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57년 8월 최고인민회의 제2기 대의원, 대의원 자격심사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58년 9월 국기훈장 제1급을 수여받았다. 1959년 2월 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을 맡았고, 이듬해 노동당 평양시당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61년 5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겸 상임위원, 같은 해 9월 노동당 제4차대회에서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정치위원, 당중앙위원회 연락국장에 선출되었다. 1962년 10월 최고인민회의 제3기 대의원 및 상임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1966년 10월 제2차 당대표자회에서 정치위원회 상무위원에 선출되고, 노동당 비서국 대남 담당 비서에 임명되었다.

1967년 3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15차 전원회의에서 박금철(朴金喆)·허석선(許錫宣) 등과 함께 대남 공작에 실패하고 김일성사상과 당 노선에 충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숙청당하였다.

참고문헌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화전춘수(和田春樹) 저·이종석 역, 창작과비평사, 1992)
『조선로동당연구』(이종석, 역사비평사, 1995)
『조선전쟁』(와다 하루끼 저·서동만 역, 창작과비평사, 1999)
「北朝鮮における社會主義體制の成立」(徐東晩, 東京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