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권 2책. 목판본. 1911년에 5대손 조정환(曺廷煥)·조승환(曺昇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이, 권말에 서정옥(徐廷玉)의 발문 및 족손 조병문(曺秉文)과 5대손 조정환의 후지(後識)가 있다. 후손 조태현(曺泰鉉)이 소장하고 있다.
권1에 시 49수, 사(辭) 1편, 부(賦) 1편, 권2에 서(書) 14편, 권3은 잡저 3편, 논(論) 1편, 설(說) 2편, 권4에 서(序) 8편, 기(記) 4편, 발(跋) 5편, 권5는 명(銘) 3편, 잠(箴) 3편, 상량문 2편, 축문 12편, 제문 5편, 뇌문 3편, 권6에 묘갈명 4편, 묘지명 1편, 행장 7편, 권7에 부록으로 행장 1편, 상량문 1편, 상향문 1편, 봉안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의 「심역통회(心易統會)」는 『역경』을 연구, 분석하여 체계를 정립한 것으로, 천역(天易)·서역(書易)·심역(心易) 등 24가지로 분류하여 서술하였으므로 성리학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