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로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의금부도사, 신령현감, 충원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득여(得汝)
영서거사(潁西居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55년(영조 31)
사망 연도
1828년(순조 28)
본관
풍천(豊川, 지금의 황해도 송화)
주요 관직
의금부도사|신령현감|충원현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의금부도사, 신령현감, 충원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득여(得汝), 호는 영서거사(潁西居士). 아버지는 대사간 임종주(任宗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77년 (정조 1) 아버지가 세도가인 홍국영(洪國榮)에게 몰려 단천에 유배되어 죽은 뒤로는 벼슬을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전력을 쏟았다.

그 뒤 여러 차례 나라의 부름을 받았으나 세상의 부귀영화에는 뜻을 두지 않고 진리탐구에만 열을 올리니 자연히 가정 형편은 빈곤해졌다. 그러나 이에 개의치 않고 매일 유학 경전을 비롯한 여러 서책들을 두루 읽으며 사색에 잠기는 한편 묵묵히 이를 실천하면서 수양에 힘썼다.

아울러 사람들에게 알려지기를 싫어하고 오직 자연을 벗삼아 한가로이 살려고 노력했다 한다. 그러다가 계속되는 나라의 부름으로 1809년(순조 9) 제용감부봉사(濟用監副奉事)가 되었다가 상서원직장(尙瑞院直長)을 거쳐, 한성부와 사복시의 주부가 되었다.

그 뒤 의금부도사와 경모궁령(景慕宮令)을 거쳐, 외직으로 나가 신령현감·충원현감을 역임하였다. 현감으로 있으면서 백성들을 괴롭히는 간악한 아전들을 다스리는 한편 횡포가 심한 토반(土班)들을 억압해 지방행정질서와 풍속을 바로잡았다.

그러나 이 때문에 피해를 입은 세력들이 일치단결해 반감을 품고 충청좌도 암행어사 서좌보(徐左輔)에게 고자질해, 지방을 잘못 다스린다는 억울한 죄명을 쓰고 1822년 충청도 진천으로 귀양가고 말았다.

다행히 누명이 벗겨져 이듬해 석방되었지만 그 뒤로는 일체의 세상사를 등지고 두문불출하면서 오로지 독서로써 여생을 보냈다 한다. 약간의 저서를 남겨놓았다. 학문적 계보를 보면 주기론(主氣論)을 주장한 임성주(任聖周)를 스승으로 모셨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노주집(老洲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