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제건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할아버지 작제건에 관한 설화.
정의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할아버지 작제건에 관한 설화.
개설

작제건주1을 신성시하려는 의도로 구성한 설화이다. 왕건주2로 보면, 부계(父系)로서 확실한 선조는 작제건이며 그 이전은 불분명한 상태이다. 「작제건설화」는 작제건의 탄생에 관련된 매몽(買夢) 관계와 용녀(龍女)를 취하여 아내로 맞이한 결연설화로 구분된다.

내용

보육(寶育)이 곡령(鵠嶺)에서 소변을 보아 삼한을 덮는 꿈을 꾸고, 형 이제건(伊帝建)에게 이야기하였는데 형은 제왕을 낳을 꿈이라면서 딸 덕주(德周)를 아내로 삼아 주었다. 이어 두 딸을 두었는데 아우의 이름이 진의(辰義)였다. 진의는 언니가 꿈에 오관산(五冠山)에서 다시 오줌이 천하를 잠기게 하는 꿈을 꾼 것을 비단 치마를 주고 샀다.

당나라의 황제가 잠저 시에 송악의 보육가에 와 묵게 되었다. 찢어진 옷을 깁는데 언니가 코피가 나자, 아우가 대신한 것이 인연이 되어 동침하고 작제건을 낳았다. 이것은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김유신(金庾信)의 누이동생 문희(文姬) · 보희(寶姬)의 「매몽설화」에서 유래되었다.

작제건이 장성한 다음 아버지를 찾아 신물(信物)인 신궁(神弓)을 가지고 당나라 상선을 탔다. 해상에서 풍랑을 만나 점을 치니 고려인을 섬에 내려놓으라 하였다. 한 노인이 나타나 자신은 서해 용왕인데 늙은 여우가 나타나 경을 외우면 두통을 일으키니 쏘아 달라는 것이었다. 약속한 대로 늙은 여우를 쏘아 죽이니 용왕은 용궁으로 초청하였고, 용녀를 아내로 삼아 칠보와 양장(楊杖) 및 돼지를 얻어 돌아왔다.

이 용녀와의 혼인설화는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주3에서 크게 영향을 입었고, 더 나아가 보양사(寶壤師)의 용자 이목(梨目)을 부리는 이야기와도 연관되어 있다. 또, 이 소재는 후대의 소설에도 이용되었으며, 상대의 중국 설화와도 관련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설화는 고대설화를 이용하여 계통이 약한 고려 왕계의 우수성을 내보이려고 신성화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매몽 관계나 용신 관계 설화가 공히 우리 민족의식 속에 깊이 뿌리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제왕운기(帝王韻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한국고설화론』(김현룡, 새문사, 1984)
『설화문학개설』(장덕순, 이우출판사, 1974)
주석
주1

작제건 설화에 등장하는 영웅. 고려 태조 왕건의 할아버지이다. 당나라 숙종에게서 태어난 작제건은 당나라로 돌아간 아버지를 찾으러 가던 도중 요괴를 물리치고 용왕을 구한다. 용왕의 딸과 결혼하여 아들 용건을 낳게 되고, 그 아들 용건이 후에 낳은 아들이 고려 태조 왕건이다. 우리말샘

주2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내려오는 계통. 우리말샘

주3

신라 시대의 명궁 거타지에 관한 설화. 거타지가 중으로 둔갑한 늙은 여우를 활로 쏘아 물리치고 용왕의 딸과 결혼하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삼국유사≫에 실려 전한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