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소설 ()

목차
관련 정보
강감찬전
강감찬전
고전산문
개념
실존 인물의 일생을 형상화하여 구성한 소설.
내용 요약

전기소설은 실존 인물의 일생을 형상화하여 구성한 소설이다. 한 인간의 일대기를 사실에 입각해 서술한 것은 전기문학이며 비허구적이라는 점에서 전기소설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하지만 전기문학도 비사실적이고 허구적인 과장표현으로 미화시키고 세간에 유포된 허황된 이적을 비판 없이 삽입해 흥미를 돋우는 일이 많았다. 이 전기문학에서 대상 인물의 출중함을 부각시키는 구성을 갖춰 발전한 것이 전기소설이다. 개화기에 민족의 자존과 관련된 인물의 전기소설이 상당수 등장했는데 외세 침탈에 맞서 민족정신을 고양하겠다는 애국정신이 전기소설로 구현된 것이다.

목차
정의
실존 인물의 일생을 형상화하여 구성한 소설.
내용

그러나 한 인간의 일대기를 사실(事實)에 입각해 서술했을 때는 전기문학이며, 비허구적이라는 점에서 전기 소설의 영역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현대소설의 관점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설은 주인공의 성격이나 사건을 묘사해 입체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 인간의 일생을 중심으로 평면적 구성을 하고 있는 전기 소설은 그 나름의 유형상의 특질을 인정받는다.

고소설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작품이 주인공의 일대기를 평면적으로 서술하는 형식의 구성을 하고 있어서, 거의 모든 고소설을 전기 소설의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는 특수한 사정에 있다. 고소설은 그 발달 과정을 추적해 올라가 볼 때, 그 연원은 주1열전(列傳) 기술로 접맥된다.

역사 기술의 한 계열인 정사체(正史體)에는 각 개인의 일생에 관한 기록을 따로 분리해 기술하는 열전 항목을 두고 있다. 엄격한 의미에서 열전 기록은 실제의 행적에 근거, 진실하게 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더러는 비사실적(非事實的)이거나 허구적인 과장 표현을 해 미화시키기도 하고, 세간에 유포되던 허황된 이적(異蹟)을 비판 없이 삽입해 흥미를 돋우는 일이 허다하였다.

이러한 열전 기술의 태도는 역사 기록이라는 신빙성과 결부되어 사람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나아가서 소설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열전 항목을 최초로 설정한 중국 사서인 『사기(史記)』에서도 그러했지만, 우리의 『삼국사기』 · 『고려사』의 열전에 기술된 김유신(金庾信) · 강감찬(姜邯贊)의 기록 속에도 사실이라 볼 수 없는 이사(異事)들이 많이 삽입되어 있다.

한편으로, 사서의 열전과는 별도로 개인의 문집들에는 어떤 인물에 관한 전기 형식의 기록이 많이 실려 있는데, 이것을 ‘전(傳)’이라고 하는 한 형태로 설정하고 있다.

이 역시 개인의 전기 기술이라는 기본 입장에서 서술하기 때문에 사실의 행적에 근거해 진실하게 표현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많은 기행이적(奇行異蹟)을 삽입하고 있어서 허구적인 요소가 적지 않게 나타나 있다. 이것을 열전에 대해 별전(別傳)이라고 부르는데, 열전보다 소설 발달에 한 걸음 더 가까워져 있다.

이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해, 실제로 살았던 사람이 아닌 동물이나 식물 또는 무생물을 의인화해서 열전이나 별전의 기술 방법을 빌린 순수 창작 구성의 전기 형태 작품이 나타났다. 고려 말기의 <국순전 麴醇傳>을 비롯한 주2 작품들이 그것인데, 더 이전에 중국에서도 이미 쓰여져 온 것이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고소설이 발달해 왔기 때문에, 실존 인물이 아닌 가상의 주인공을 설정해 소설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거의 모두 전기 기술 형식의 소설을 쓰게 된 것이 우리 고소설의 한 특징이다. 따라서, 고소설의 표제에 있어서도 ‘∼傳(전)’이라 한 것이 대부분이다.

고소설의 구성형태가 이와 같이 전기 기술의 영역 속에 있다는 특성 때문에, 고소설을 논하는 저술에서 근자에는 극히 일부(蘇在英, 古小說通論)를 제외하고는 고소설의 유형별 분류에 전기 소설 항목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金起東의 李朝時代小說論, 鄭鉒東의 古代小說論).

대부분의 고소설이 주인공의 일대기를 평면적으로 서술하고 있어서, 어떤 특정 작품만을 따로 전기 소설이라 분류할 수 없는 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기 소설은 개인의 전기를 소설로 구성했다는 특성 때문에, 제일차적으로 실존인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전제 때문에, <춘향전>이나 <유충렬전>이 전기 소설일 수는 없다. 따라서, 고소설에도 전기 소설의 유형을 따로 분류, 항목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즉, <임경업전 林慶業傳> · <김유신전 金庾信傳> · <을지문덕전 乙支文德傳> · <강감찬전 姜邯贊傳> 등과 같은 행적 중심의 작품과 <최고운전 崔孤雲傳> · <박문수전 朴文秀傳> · <사명당전 四溟堂傳> · <김덕령전 金德齡傳> 등과 같은 이적 과장(異蹟誇張)의 표현 작품, <장자방전 張子房傳> · <조자룡전 趙子龍傳> · <제갈량전 諸葛亮傳> · <설인귀전 薛仁貴傳> 등과 같은 중국 인물 대상 작품 등이 여기에 속하게 된다.

지금까지 전기 소설의 항목을 인정하지 않은 논자들은 이들 작품을 거의 모두 역사 소설의 부류에 소속시켜 논하고 있다. 전기 소설이 역사 소설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은 역사상의 어떤 사건과 관련 있는 인물들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설의 내용이 역사상의 어떤 사건을 강조하면서 그 사건과 관련된 인물을 등장시켜 활동하게 했다든지, 또는 한 사건에 여러 인물을 등장시켜 그 행적들을 함께 나타내고 있으면 이는 역사소설이지, 등장 인물 중심의 전기 소설은 아니다. <임진록 壬辰錄>이 그 예가 될 것이다.

반면에 역사상의 사건에 관련되었더라도 활동 인물의 행적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면 이것은 전기 소설이 되는데, <임경업전>이 그 예이다. 전기 소설 중에는 실제로 살았던 인물을 대상으로 작품을 구성하고 있지만, 작중 인물의 활동이 지나치게 허구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서 문제이다.

<최고운전>은 신라시대 최치원(崔致遠)을 대상으로 했는데, 중국에서 크게 이름을 떨쳤다는 사실만을 진실로 표현했고 나머지 이적 표현(異蹟表現)은 모두 비현실적인 허구였다. <박문수전>도 실존 인물이지만 작품 내용에 신이 요소가 지나치게 표현되어 있다.

전기 소설은 대상 인물의 출중한 과인성(過人性)을 부각시킨다는 의도가 작품 이면에 깔려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신이 표현은 자연적인 현상이지만, 행적 자체를 완전히 허구 구성한 경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고소설의 전기 소설 중에는 조선시대 말기인 개화기에 상당량의 작품이 이루어졌다. 이 때 대상으로 설정된 인물들은 김유신 · 을지문덕 · 강감찬 · 이순신(李舜臣) · 김덕령 · 곽재우(郭再祐) · 권율(權慄) · 서산대사(西山大師) · 사명대사 등 대체로 우리 민족의 자존과 관계가 있는 인물들이었다.

당시 외세에 밀려 힘을 펴지 못한 민족의 정신을 고양해야겠다는 애국 정신의 발현이 전기 소설을 통해 나타난 것이다.

참고문헌

『조선소설사』(김태준, 학예사, 1939)
『한국고대소설사』(박성의, 일신사, 1964)
『고대소설론』(정주동, 형설출판사, 1966)
『이조시대소설론』(김기동, 이우출판사, 1977)
『고소설통론』(소재영, 이우출판사, 1983)
『한국전기문학론』(김용덕, 민족문화사, 1987)
주석
주1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책.    우리말샘

주2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傳記) 형식으로 서술하는 문학 양식. 고려 중기 이후에 성행하였으며, 임춘(林椿)의 <국순전>, <공방전>이나 이규보(李奎報)의 <국선생전#GT#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