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륙산 장륙사 ( )

목차
관련 정보
영덕 장륙사 전경
영덕 장륙사 전경
불교
유적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장륙산(丈六山) 기슭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나옹이 창건한 사찰.
이칭
이칭
장륙사(藏陸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장륙산(丈六山) 기슭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나옹이 창건한 사찰.
내용

장륙사(藏陸寺)라고도 하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1355년(공민왕 4)에 창수면 출신의 나옹(懶翁)이 창건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서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다. 그 뒤에도 이곳에서 수도를 하면 도승이 된다고 하여 많은 승려들이 운집하였으며, 수도도량으로서 면모를 갖추었다.

그러나 세종 때에 산불로 인하여 대웅전을 비롯한 모든 당우가 전소되었으며, 그 뒤 중창하였다. 이때 병환중인 어머니를 봉양하던 목수가 대웅전을 중건한다는 소문을 듣고, 어머니 병의 쾌유를 기원하며 공사를 자원하였다. 공사가 거의 끝나 마지막 기둥 네 개만을 남겨놓았을 때 어머니의 죽음을 전해들은 그는 자신의 정성이 부족하여 어머니가 소생하지 못하였다 하며 종적을 감추었다. 그 뒤 다른 목수를 기용하여 남은 공사를 완공하였으나 기술의 부족으로 뱃머리 집으로 만들고 말았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된 채 명맥만을 이어오던 것을 1900년에 이현규(李鉉圭)가 가산을 모두 바쳐 중수하였으며, 최근에는 주지 권성기가 폐찰이 된 평해 광암사의 유물을 옮겨와서 산신각과 금당을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조선 초기의 전설이 담긴 정면 3칸, 측면 3칸의 대웅전이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며, 정면 5칸, 측면 2칸에 맞배지붕인 범종루, 산신각 · 금당 · 홍련암(紅蓮庵) · 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전 내에는 1395년(태조 4) 태조와 왕비를 송축하기 위하여 지방 관리들이 중심이 되어 조성한 건칠관음보살좌상(乾漆觀音菩薩坐像)이 1989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벽에는 매우 빼어난 벽화들이 그려져 있다.

참고문헌

『내 고장 전통 가꾸기』(영덕군, 1982)
『문화유적총람』상(1977)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