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문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서경유수통판, 원외랑, 호부낭중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34년(인종 12)
본관
홍천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시합문지후 수주지사|시사재승 겸 추밀원당후관|중서주서|권지감찰어사|진어사|서경유수통판|원외랑|호부낭중|시사재소경|예부상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전기에, 서경유수통판, 원외랑, 호부낭중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홍천(洪川). 상사봉어(尙舍奉御) 장진(張瑨)의 손자이며, 검교군기소감(檢校軍器少監) 장제망(張齊望)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 성균시(成均試)에 응시하였고, 또 고조(高祖)의 음서(蔭敍)를 받아 서리(胥吏)의 적에 올랐다. 여러 차례 성시(省試)에 응시하였으나 급제하지 못하였다. 내시성(內侍省)에 불려 들어간 지 1년 만에 전시(殿試)에 나아가 진사제(進士第)에 급제하였고, 이후 명복궁녹사(明福宮錄事)·사문조교(四門助敎, 정8품)를 역임하였다.

1109년(예종 4)에 행영병마녹사(行營兵馬錄事)로서 숭녕진(崇寧鎭: 함경남도 함주)에서 여진인 38명의 목을 베었다. 또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정주(靜州, 평안북도 의주)와 변주(邊州, 위치 미상)의 분도(分道)로 나가 군사(軍事)를 관할하였으나 변경이 침략당하자, 관례에 따라 마땅히 좌천되어 면직될 뻔하였다. 장문위는 이에 앞서 군대를 독려하여 6명의 머리를 베고 소와 말 43마리를 노획하였으며, 나라를 배반한 향인(鄕人) 남녀 13인을 사로잡은 일이 있었으므로 죄를 용서받았다.

이후 액정내알자(掖庭內謁者, 정6품)에 올랐고, 숭명부주부(崇明府注簿)를 거쳐 시합문지후 수주지사(試閤門祗候 樹州知事)가 되었다. 이 때 주의 백성들에게 기근이 들었는데, 장문위가 힘든 역사(役事)를 줄여주니 백성들이 이에 감복하였다. 밭으로 개간되지 않은 곳의 풀을 베고 동산에 씨를 뿌리니, 그 곡식이 해를 이어 크게 넉넉해져서 공부(貢賦)에 충당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주의 동쪽 교외는 땅에 습기가 많고 강물이 때때로 농사를 망쳐 그 해의 노력을 잃게 하기도 하였다. 이에 장문위가 2,500여 보(步) 가량의 땅을 파서 물의 흐름을 고르게 하니 백성들이 그 해를 입지 않았다.

임기가 차자 시사재승 겸 추밀원당후관(試司宰丞兼樞密院堂後官)으로 승진하였고, 또 중서주서(中書注書)로 옮겼다. 1118년(예종 13)에 권지감찰어사(權知監察御史, 종6품)에 임명되었고, 안찰사(按察使)로 수주에서의 치적을 보고하였다. 이 해에 진어사(眞御史)가 되었다. 서경유수통판(西京留守通判), 형부(刑部)와 공부(工部) 2부의 원외랑(員外郞, 정6품), 호부낭중(戶部郞中, 정5품)을 거쳐 시사재소경(試司宰少卿, 정4품)이 되었고, 산질(散秩)로 예부상서(禮部尙書, 정3품)가 되었다.

1134년(인종 12)에 집에서 사망하였고, 그 해 11월 27일에 개경의 서남쪽 개성부(開城府) 경내의 산에 장례지냈다. 아들로는 진사(進士) 장충정(張忠正)이 확인된다. 권지사문박사 금오위녹사참군사(權知四門博士 金吾衛錄事叅軍事) 예낙전(芮樂全)이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현존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한국금석문추보』(이난영, 아세아문화사, 1986)
「고려 예종대 지배세력의 구성과 동향」(남인국,『역사교육논집』13·14, 1990)
「고려시대의 음서제도에 대한 재검토」(김용선,『진단학보』53·54,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