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사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제도
목사를 도와 교회 행정 · 예배 · 심방 · 전도를 하는 개신교의 교직자.
이칭
이칭
강도사(講道師), 조사(助師), 전도부인(傳道夫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전도사는 목사를 도와 교회 행정·예배·심방·전도를 하는 개신교의 교직자이다. 해방 전에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으며 한국 선교 초기인 개화기에는 실질적인 교회의 건설자이자 개화 사상의 전파자로서 영향을 미쳤다. 현재에도 교회 안팎의 여러 문제들을 맡아 처리하는 광범위한 기능을 행사하고 있다.

목차
정의
목사를 도와 교회 행정 · 예배 · 심방 · 전도를 하는 개신교의 교직자.
내용

광복 전까지 주1에서는 주2 또는 조사(助師), 여성의 경우 전도부인(傳道夫人)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초창기의 교회는 주3주4 아래 있었기 때문에 모든 한국인 교역자들을 전도사로 보았다. 선교사는 여러 지역을 순회하며 주5 했기 때문에 전도사가 교회의 예배나 주6를 관할하였다. 전도사는 교회의 내부 문제에도 관여하지만, 대개 교인들의 소식을 모으는 일, 전도와 주7 일 등을 한다. 따라서 한 교회에 여러 명의 전도사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교회 안팎의 여러 문제들을 맡아 처리하는 광범위한 기능을 행사하고 있다.

대개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신학교 재학생 혹은 졸업생이 주8 경험을 쌓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맡아 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성경학교 및 기타의 성서 교육 과정을 거친 사람이 영구적으로 맡는 경우이다. 교단에 따라 호칭은 다르지만, 전자의 경우 토요일과 일요일에 주로 어린이 청소년 부서 등 교육 부서 업무를 맡는 교육 전도사와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임 전도사로 나뉜다. 많은 교단들이 목사 안수를 받기 위한 조건으로 신학교 졸업 후 일정 기간 이상의 전임 전도사 경력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기독교 내의 문화적 분위기가 가부장적인 성별 분업을 기조로 하고 있어 여성 전도사들이 다양한 성차별에 노출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다. 다수의 교단에서 여성의 목사 안수를 제한하고 있어 종신 전도사로 활동하고 있는 여성이 많으며 남성 교직자의 보조 역할만 수행하는 임시직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의의 및 평가

한국 개신교사에 있어서 전도사들은 실질적인 초기 교회의 건설자이며 선교의 주역이고, 널리 성서를 배포시킨 공로자였다. 또한 전국 방방곡곡을 찾아다니며 포교하는 동시에 개화의 흐름을 도처에 파급시킨 중요한 구실도 하였다. 여자 전도사들의 활동 역시 개화기의 여권 신장과 여성 해방에 많은 자극과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韓國基督敎會史)』 (대한기독교출판社, 1982)
이영헌, 『한국기독교사(韓國基督敎史)』 (컨콜디아사, 1978)

논문

서영준, 「여전도사의 차별적 문화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장신논단』 49-1,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7)
주석
주1

장로교 교파에 속한 교회. 우리말샘

주2

장로교에서 총회의 허가를 받아 받아 종사하는 일종의 준목사. 또는 수련 중인 목사 후보자. 교회에 대한 관리권은 없으나 설교는 할 수 있다. 우리말샘

주3

외국에 파견되어 기독교의 전도에 종사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4

두루 돌아다니며 실지(實地)의 사정을 살핌. 우리말샘

주5

사무를 보다. 우리말샘

주6

나라나 지역을 도맡아 다스림. 우리말샘

주7

방문하여 찾아보다. 우리말샘

주8

목사가 교회를 맡아 설교하거나 신자의 신앙생활을 지도하는 등 공식적으로 행하는 활동. 형태는 교회에 따라 다양하며 초대 교회에서 발전한 형태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따위의 몇몇 교회에 보존되어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손승호(한국기독교역사문화재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