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부인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개념
한국 개신교 초기에 유급으로 전도활동에 종사하던 여성 종교인. 여전도인 · 여조사 · 여전도사 · 부인전도사.
이칭
이칭
여전도인, 여조사(助事), 여전도사, 부인전도사
내용 요약

전도부인은 한국 개신교 초기에 유급으로 전도 활동에 종사하던 여성 종교인이다. 선교 개척기 한국 여성들에게 선교사의 생각을 전해주며, 선교사의 조력자 역할을 하였다. 한국에서의 개신교 여성 선교는 1885년 미감리회 첫 여선교사 메리 스크랜턴의 내한으로 시작되었다. 대체로 2∼5명의 전도부인은 선교사들과 함께 관할 지역에 파송되어 전도 사업을 수행하였다. 한국 교회가 제도화되는 과정 속에서 남성 사역자들의 경우 교회법을 따라 전문적인 목회자로 위상이 확립되었다. 하지만 전도부인은 한국 교회 형성과 발전에 큰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목차
정의
한국 개신교 초기에 유급으로 전도활동에 종사하던 여성 종교인. 여전도인 · 여조사 · 여전도사 · 부인전도사.
내용

한국에서의 개신교 여성 선교는 1885년 미감리회 첫 여선교사 메리 스크랜턴(Mary F. Scranton)의 내한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당시 한국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한국의 언어와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선교사들이 직접 한국 여성들을 만나 복음을 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선교 개척기, 기독교복음을 처음 접하는 한국 여성들에게 선교사의 생각을 전해주며, 선교사의 조력자 역할을 한 한국 여성 사역자가 바로 ‘전도부인’이다.

선교사들은 본국에서 오는 기금으로 전도부인을 고용했으며, 대체로 2∼5명의 전도부인과 함께 일했다. 전도부인은 자신을 고용한 선교사의 지시에 따라 관할 지역에 파송되어 전도 사업을 수행하였고, 선교사의 통제를 받았다. 전도부인의 초기 사역은 여선교사들의 사업을 돕는 경우가 많았으나 점차 사역의 범위가 확대되어 갔다. 전도부인은 여전도인, 여조사(助事), 여전도사, 부인전도사 등으로도 불렸다.

선교 초기에는 전도부인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미비한 상황에서 선교사가 한글을 깨친 여성들에게 개별적으로 성경과 단순한 교리를 가르쳐 전도 사업에 종사하게 했다. 이후 전도부인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여자사경회가 시작된 것은 장로교회의 경우는 1897년, 감리교회는 1898년경으로 추정된다.

사경회(査經會)는 일 년에 두 차례 농한기를 빌어 2∼4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한국교회의 성장과 함께 전도부인 양성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이 더욱 필요해짐에 따라 전도부인 양성을 위한 상설교육기관으로 여자성경학원이 설립, 운영되었다. 성경학원은 1년 3학기제, 3년 과정의 교육체계를 갖추고 성경, 교리, 교회사, 일반 학문, 전도 실습 등으로 교과목을 구성하여 사경회 보다 훨씬 다양하고 폭넓게 전도부인들의 역량을 키워나갔다.

전도부인이 영어로 ‘Bible Woman’으로 지칭되듯이 전도부인은 바깥출입조차 자유롭지 못했던 안방의 여성들을 찾아다니며 성경, 찬송가를 팔고 한글을 가르쳐주며 기독교복음을 전했던 권서인(勸書人)이자 복음전도자였다. 전도부인들은 점차 초기 권서인의 역할에서 벗어나 지방을 순행하며 성경 공부반을 열고, 교회를 설립하고, 미약한 교회의 부흥을 꾀하였다. 또한 선교부가 세운 학교와 병원에 근무하며 복음을 전하고, 국내외 선교를 담당하는 전문 목회자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회의 터를 닦고 확장시켜나간 전도부인은 실체는 있으나 교회법규상의 직책은 아니었다. 이는 한국 교회가 제도화되는 과정 속에서 남성 사역자들의 경우, 일찍이 교회법을 따라 전문적인 목회자로서의 위상이 확립된 것과는 대조되는 것이었다.

전도부인에 관한 규례가 만들어지고, 교회법에 의해 전도부인의 위상이 확립된 것은 1930년대 들어서였다. 따라서 한국 교회 형성과 발전에 기여한 수많은 노고와 업적에도 불구하고, 전도부인들의 실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자신을 고용한 선교사나 선교단체의 보고 속에서 단편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다.

이에 비추어볼 때 매티 노블(Mattie W. Noble) 선교사가 편집하여 1927년 펴낸 『승리의 생활』은 전도부인에 관련한 독보적인 저술이다. 『승리의 생활』에는 전도부인들의 인생 역정, 선교의 여정과 사역의 성과 등이 약력이나 자전(自傳)의 형태로 담겨 있어 전도부인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교회 전도부인 자료집』(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여성사연구회,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9)
『승리의 생활』(Mrs. W. A. Noble 편, 조선예수교서회, 1927)
「참여와 배제의 관점에서 본 전도부인에 관한 연구」(양미강, 『한국기독교와 역사』6, 1997)
집필자
조선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