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복 ()

동물
생물
전복과에 속하는 패류의 총칭.
내용 요약

전복은 전복과에 속하는 패류의 총칭이다. 전복과에 속하는 것 중 우리나라에서 나는 종류는 까막전복과 말전복이다. 조가비의 겉면은 검은 빛깔이 강한 갈녹색이고, 평활한 경우도 있으나 보통 파상의 주름이 있다. 외순은 상순 쪽으로 가는 부분이 좁다. 조가비의 안쪽은 강한 진주광택이 있다. 우리나라의 전 연안에 분포되어 있다. 전복의 양식을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부터 국립수산진흥원의 수산종묘배양장에서 종묘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전복은 고대 패총에서 볼 수 있듯이, 옛날부터 식용으로 삼아 온 중요 수산물 중의 하나이다.

정의
전복과에 속하는 패류의 총칭.
개설

전복과에 속하는 것 중 우리나라에서 나는 중요한 종류는 까막전복과 말전복이다. 까막전복은 형태가 난상타원형으로서 배측연(背側緣:등 가장자리)을 따라 높은 공렬(孔列)이 있고, 마지막 4, 5개는 호흡공(呼吸孔)이 열려 있다. 조가비의 겉면은 검은 빛깔이 강한 갈녹색이고, 평활한 경우도 있으나 보통 파상(波狀)의 주름[褶]이 있으며 방사륵(放射肋)이 있다.

외순(外脣)은 상순(上脣) 쪽으로 가는 부분이 좁다. 조가비의 안쪽은 강한 진주광택이 있다. 연체부의 상족돌기(上足突起)는 각상돌기(角狀突起)를 계속 분기(分岐)해서 나뭇가지 모양으로 복잡하다. 크기는 각길이 200㎜, 각너비 170㎜, 각높이 70㎜인 대형패류이다.

생태

우리나라의 전연안에 분포되어 있다. 이 종의 북방형에 대한 수산상의 명칭으로서 참전복이 있는데, 이것은 겨울의 저층수온이 12℃ 되는 등온선인 한국해협과 거문도 북쪽을 동서로 달리는 경계수역을 중심으로 한 북쪽 연안의 남해안과 동해안 및 서해안에 분포한다.

서식장은 외양의 도서나 육지에서 튀어나온 암초로서, 해수가 깨끗하고 해조류 특히 갈조류가 많이 번식하는 곳이다. 서식장의 수심은 간조선 부근에서부터 수심 약 10m 되는 곳까지이다. 까막전복은 난생형(卵生型)으로서, 주산란기는 가을이다. 산란한 알은 해수 중에서 수정한 다음 발생하여 약 3∼7일간 부유생활을 하고 곧 저서포복생활(底棲匍匐生活)로 들어간다.

말전복은 형태가 달걀 모양으로서 배측연을 따라 강하고 높게 솟은 공렬이 있고, 마지막 4, 5개인 호흡공은 열려 있다. 조가비의 겉면은 검은 빛깔을 띤 갈색이고, 납작한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나륵(螺肋)이 있다. 시볼트전복은 조가비가 낮으면서 납작한 형에 대한 명칭이다. 외순은 상순과 넓은 폭으로 이어져 있다. 조가비의 안쪽은 강한 진주광택이 있다. 연체부의 상족돌기는 아주 얕아서 거의 주름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겨울의 저층수온이 12℃ 되는 등온선인 한국해협과 거문도 북쪽을 동서로 달리는 경계수역을 중심으로 한 남쪽 연안, 주로 제주도 연안에 분포한다. 서식장은 외양의 암초지대로서, 해조류 특히 갈조류가 많이 번식하는 곳이다. 서식장의 수심은 5∼50m이지만, 주로 10∼30m 되는 곳에서 많이 산다.

말전복은 난생형으로서, 주산란기인 늦가을에서부터 초겨울 사이에 산란한 알은 해수 중에서 수정한 다음 발생하여 약 1주일간 부유생활을 하고, 곧 저서포복생활로 들어간다. 전복은 부유생활기간 동안에는 먹이를 먹지 않지만, 저서포복생활로 들어가면 곧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이때는 부착규조류(付着珪藻類)와 같은 작은 조류를 먹고, 성장함에 따라 차차 큰 해조류를 먹는다.

현황

연간 천해에서 수확하는 양은 약 200M/T이고, 양식고는 약 80M/T인데, 1997년에는 7M/T를 수확하였다. 전복의 양식을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부터 국립수산진흥원의 수산종묘배양장에서 종묘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74년부터 생산한 종묘는 연안의 양식어민에게 나누어주고 있다. 연안의 양식어민은 받아간 종묘를 양식장에다 방양하여 바닥식 양식을 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채롱수하식 양식도 하기 시작하였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전복은 여러 곳에서 발굴되고 있는 고대 패총에서 볼 수 있듯이, 옛날부터 식용으로 삼아 온 중요 수산물 중의 하나이다. 식용으로 쓰이는 연체부는 날것으로 먹는 이외에, 건제품인 명포(明鮑)나 회포(灰鮑)의 원료 또는 통조림의 원료로도 이용된다. 그리고 조가비는 빛깔이나 광택이 좋기 때문에 여러 공예품의 재료 및 액세서리 재료로 쓰이고 있다.

전복은 100g당 총열량이 100㎈이고, 그 조성은 수분 73.4g, 고단백질 23.4g, 조지방이 0.4g, 탄수화물 0.8g 및 회분 2.0g이며, 비타민A, B1, B2, C, 나이아신 등을 함유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수산업사』(박구병, 1966)
『천해양식(淺海養殖)』(류성규, 새로출판사, 1979)
『수산통계연보』(농수산부, 1983)
『해양수산통계연보』(해양수산부, 199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