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함병량도감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후기 일본원정을 위해 전함을 건조하고 군량미를 보급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관서.
목차
정의
고려 후기 일본원정을 위해 전함을 건조하고 군량미를 보급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고려는 원나라와 합세하여 1274년(원종 15)과 1281년(충렬왕 7) 일본원정을 단행하였다. 그 때마다 고려는 900척에 이르는 전함을 건조하는 한편, 1만 명이 훨씬 넘는 원정군을 파견하고 군량도 차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원래 전함을 관장하는 특정한 기구가 없었던 고려는 제1차 일본원정을 앞두고 1272년(원종 13) 2월에 전함병량도감(戰艦兵糧都監)을 설치하고 전함의 건조와 병량의 조달을 관장하게 하였다. 고려의 전함은 평저선(平底船)으로서 일본원정군 전체 전함의 주력이었으며 튼튼하고 풍랑에 강한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제1차 일본원정이 약간의 전과를 얻었던 것과는 달리 제2차 일본원정은 태풍 등 악천후와 일본군의 만만치 않은 저항으로 크게 실패하게 되자 임시 관서였던 전함병량도감도 곧 폐지되고 말았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시대사』(김상기, 동국문화사, 1961)
「원의 일본원정과 여·원관계」(김철민,『건대사학』3, 1973)
「高麗の艦船用材木事情-元の日本遠征に關連して-」(太田弘毅,『芸林』37-2, 日本學協會芸林會, 198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