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극온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어사대부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이칭
이칭
익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15년(고종 2)
본관
전주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양온령동정|금오위 산원|장군|대장군|수사공 좌복야 판삼사사|어사대부 지문하성사|참지정사
관련 사건
조위총의 난|망이·망소이의 항쟁
정의
고려후기 어사대부 지문하성사, 참지정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대장군 정원녕(鄭元寧)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처음 음보(蔭補)로 양온령동정(良醞令同正)이 되어 내시(內侍)로 들어간 이후, 명종∼강종대까지 고위 문·무관을 두루 역임하면서 내란을 진압하고 민생을 보살폈다.

1174년(명종 4)에 발생한 조위총(趙位寵)의 난에서 공을 세워 금오위 산원(金吾衛散員, 정8품)이 되었다가 장군(將軍, 정4품)으로 올랐다. 다시 망이(亡伊)·망소이(亡所伊)의 항쟁을 진압하여 그 공으로 대장군(大將軍, 종3품)이 되었다. 정극온이 처음에 내시로 시작해서 무신정변 이후 무반의 직책을 주로 띤 것은 무신정권이라는 시대적인 배경이 정극온의 관직 생활에도 영향을 끼쳤음을 의미한다.

상장군(上將軍),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를 역임하였다. 1212년(강종 원년) 12월에 수사공 좌복야 판삼사사(守司空左僕射判三司事, 정2품)가 되었고, 뒤이어 어사대부 지문하성사(御史大夫知門下省事)를 거쳐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었다. 말과 행동에 모남이 없어 가는 곳마다 위엄과 은혜를 함께 베풀었다고 한다.

고려 제22대 강종의 묘정(廟廷)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익렬(翼烈)이다. 정극온의 열전(列傳)이 『고려사』 권101에 실려 있다. 또한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과 『동문선(東文選)』에는 이규보(李奎報)가 쓴 ‘고참지정사 정극온배향 신종교서(故叅知政事鄭克溫配享神宗敎書)’가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동문선(東文選)』
『고려 무인정권과 명학소민의 봉기』(김갑동 외, 다운샘, 2004)
『고려 무인정권과 지방사회』(신안식, 경인문화사, 2002)
「무신정권기의 반무신란의 성격: 김보당의 난과 조위총의 난을 중심으로」(변태섭, 『한국사연구』19, 197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