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경집해관중소 권3~4 ( )

불교
문헌
조선 전기에, 간행한 『정명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이칭
이칭
정명관중소(淨名關中疏)
문헌/고서
간행 시기
15세기
저자
도액(道液)
권책수
2권 1책
권수제
정명경집해관중소(淨名經集解關中疏)
판본
목판본
소장처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명경집해관중소(淨名經集解關中疏)』 권3~4는 당나라 자성사 도액(道液)이 진나라 승조(僧肇)가 『유마경(維摩經)』을 집해(集解)한 주해본에 다시 주소(註疏)를 붙인 불교서이다. 대각국사 의천이 수집해 1095년(헌종 1)에 흥왕사에서 판각한 판본을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고쳐 만든 교장(敎藏) 중수본(重修本)이다. 이 책은 전4권 중 권3과 권4의 영본(零本)이다.

정의
조선 전기에, 간행한 『정명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개설

『정명경집해관중소(淨名經集解關中疏)』 권3~4는 2권 1책의 목판본으로 보물 제736호이다.

서지사항

『정명경집해관중소』 권3~4는 당나라 자성사(資聖寺)의 문도였던 도액(道液)이 진나라 승조가 『유마경(維摩經)』의 해석을 모은 주해본을 바탕으로 다시금 주소(註疏)한 것이다. 이 주소본은 현재 둔황(敦煌)에서 발견된 고초본(古抄本) 상하 2권 완본과 초략본(抄略本)이 전하고 있다.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에서 입수하여 간행한 교장본(敎藏本)은 본래 4권이었으나,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에 소장된 판본은 권3과 권4만이 남은 영본(零本)이다. 권3에는 제5품인 「문수사리문질품」으로부터 제8품인 「불도품」까지, 권4에는 제9품인 「입불이법문품」으로부터 제14품인 「촉루품」까지 수록되어 있다.

표지는 표제가 묵서(墨書)된 것으로 보아 세조 때 만들어진 원간본(原刊本)이 아니라, 불복장(佛腹藏)에서 나온 것을 후대에 다시 만들어 붙인 것으로 보인다. 책의 크기는 34.4cm×29.5cm이다. 권3의 권수제가 있는 면을 살펴보면, 권수의 서명은 ‘정명경집해관중소(淨名經集解關中疏)’이며, 그 다음 행에 ‘중경자성사사문도액집(中京資聖寺沙門道液集)’이라고 저자가 표시가 되어 있다. 윗변의 천두에는 '용재백락준장서(庸齋白樂濬藏書)'라는 장서인이 찍혀 있어, 이 책이 본래 문교부 장관 및 연세대학교 총장을 지낸 백낙준 박사의 구장본(舊藏本)임을 알 수 있다.

각 장의 끝부분에는 ‘정명관중소(淨名關中疏)’라는 판미제와 권장차가 기입되어 있으며, 각 권의 끝에는 ‘수창원년을해고려국대흥왕사봉선조조(壽昌元年乙亥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라는 간기가 기재되어 있다.

판식의 특징을 보면, 변란(邊欄)은 상하단변(上下單邊)으로 되어 있어 처음부터 권자(卷子)나 첩장(帖裝)의 형태로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상하 간 광곽(匡郭)의 높이는 22.5cm이다. 권자나 첩장을 염두에 두고 판을 새겼기 때문에 중앙에 판심은 없으며, 접은 면을 기준으로 반엽(半葉)에는 15행, 한 행에는 20자씩 배치하고 있다. 권수제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에만 계선이 보이며, 그밖에는 계선이 보이지 않는다. 각 품의 품차 구별은 별도의 행으로 구분하지 않고 본문에 포함하여 기재하고 있다. 본문에는 먹으로 구결을 달았으며, 구결 사이사이에 붉은 글자로 교정한 흔적이 보인다.

이처럼 이 책에는 처음 간행되었던 원간본에 기재된 간기가 그대로 판각되어 있어 판본의 식별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자체(字體) 등에서 나타나는 판식의 특징을 보면, 조선 세조 때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낡은 판을 고쳐 새로 찍어낸 것을 알 수 있다. 종이의 질을 보면, 조선 세종 이후 사용된 고정지(藁精紙)가 섞여 있다.

의의 및 평가

『정명경집해관중소』 권3~4는 대각국사 의천이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권1에 편차(編次)하여 간행한 교장본(敎藏本)이다. 『정명경』의 해석본으로는 돈황본과 이 책만이 현전하고 있는데, 돈황 고초본에는 글자를 잘못 베낀 부분이 많이 보이고 본문의 순서가 뒤바뀐 곳도 있으며, 본문의 일부를 빠뜨린 것도 보인다. 심지어 승조(僧肇)의 주소(註疏) 전문이 빠진 곳도 있어, 이러한 오기 · 탈락 · 일문(逸文) 등을 이 책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논문

이종수, 「조선시대 이전 유마경의 전래와 간행」(『서지학연구』 85, 2021)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