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영 ()

법제·행정
인물
대한제국기 중추원의관, 궁내부특진관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0년(철종 11) 12월 23일
사망 연도
1923년 3월 21일
본관
연일(延日)
정의
대한제국기 중추원의관, 궁내부특진관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본관은 연일(延日)이며, 아버지는 남작 정낙용(鄭洛鎔)이다. 수사(水使)와 병사(兵使) 등 무관직으로 시작하여 중추원 의관 등 내직(內職)과 외직(外職)의 관찰사를 두루 지냈고,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에 이르렀다. 부친 사후 남작 작위를 세습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0년 12월 23일에 출생하였다. 무과 급제 여부는 알 수 없으나 부친 정낙용과 마찬가지로 무관으로서 1886년 2월 전라우도 수군 절도사(水軍節度使)가 되었다가, 4월 경상좌도 병마 절도사(兵馬節度使)로 전임(轉任)되었다. 1897년 10월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4월 충청남도 관찰사(觀察使)에 임명되어 충청남도재판소 판사를 겸하였고, 1899년 7월 다시 중추원 의관이 되었다. 1900년 1월 귀족원경(貴族院卿)에 임명되었고, 1901년 10월 양지아문 부총재관(量地衙門副總裁官)이 되었다.

1904년 9월 중추원 의관, 1905년 2월 의정부 찬정(贊政)이 되었다. 같은 해 5월 경상북도 관찰사와 경기도 관찰사에 연달아 임명되었으며, 경기도 관찰사로서 경기도 재판소 판사를 겸하였다. 1906년 2월 궁내부 특진관이 되었다. 1908년 4월과 8월에 각각 대한학회 회원, 기호흥학회 회원이 되었고, 1909년 4월 대한흥학회 회원이었다.

1914년 2월 1일 부친 남작 정낙용(鄭洛鎔)의 사망으로 3월 19일 조선귀족령(朝鮮貴族令)에 의거하여 남작 작위를 승계(承繼)하였다. 그의 습작(襲爵) 사실이 보도된 1914년 3월 27일자 『매일신보』 기사에는 그의 휘호[은악융심(恩渥隆深: 임금의 은혜가 융숭하고 깊다)]가 같이 실려 있는데, 작위 승계에 즈음하여 쓴 것으로 보인다.

1914년 3월 30일 일본 정부로부터 종5위에 서위(敍位)되었다가, 1920년 4월 10일 정5위에 승서위(陞敍位)되었다. 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경복궁 일원에서 개최된 ‘시정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 특별회원으로 참여하여 50원을 출연하였고, 1915년 11월 일본 정부가 다이쇼[大正] 천황 즉위를 기념하여 수여한 대례기념장(大禮記念章)을 받았다. 1923년 3월 21일 사망하여 그의 남작 작위는 같은 해 6월 30일 장남 정두화(鄭斗和)가 세습하였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조선총독부관보(朝鮮總督府官報)』
『친일인명사전』(민족문제연구소, 2009)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6(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조선귀족약력』(『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 Ⅳ,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8)
집필자
최재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