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중입효방 ()

목차
의약학
문헌
고려전기 의종 연간에 김영석이 신라 및 송나라의 의서를 참고하여 편찬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전기 의종 연간에 김영석이 신라 및 송나라의 의서를 참고하여 편찬한 의서.
내용

저자는 인종과 의종 때 내외 요직을 지내면서 신라 및 송나라의 의서를 참작하여 이 책을 편찬하였다. 현재 전하지 않아 그 내용을 짐작하기 어려우나, 조선 세종 때 편찬된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그 방문이 남아 있다.

그 내용은 “솔잎 5말 가량에 소금 2되를 넣어 쪄서 끓인 뒤에 그것을 주머니 안에 담아 편풍(偏風)으로 수족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증세가 있는 곳에 찜질한다(濟衆立效方 治偏風手足不遂 疼痛 松葉五斗許 鹽二升 右蒸熱 盛帒中 慰之 冷則更蒸 以差爲度).”라는 것이다.

그런데 당나라의 『천금방(千金方)』이나 『외대비요(外臺秘要)』에서는 편풍적년불차(偏風積年不差)의 병에 푸른 솔잎의 즙[靑松葉汁]과 청주(淸酒)를 섞어서 내복하도록 되어 있을 뿐이고, 『제중입효방』에서 보이는 솔잎을 찜질하는 외용적 방법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 같은 사실로써 고려의학이 한의학의 영향을 받고 있으면서도 자주적 전통을 보존하여온 것을 다소나마 추상할 수 있다.

참고문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김두종, 탐구당,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