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선 ()

목차
관련 정보
선문보장록
선문보장록
불교
개념
여래선 · 의리선과 함께 삼종선의 하나로, 불립문자 · 교외별전 · 직지인심 · 견성성불을 표방한 남종선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여래선 · 의리선과 함께 삼종선의 하나로, 불립문자 · 교외별전 · 직지인심 · 견성성불을 표방한 남종선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개설

불립문자(不立文字)·교외별전(敎外別傳)·직지인심(直指人心)·견성성불(見性成佛)을 표방하는 육조(六祖) 혜능(慧能) 하의 남종계의 선, 즉 남종선(南宗禪)을 말한다. 이 조사선은 일반적으로 중국선(中國禪)을 가리키는 대명사로도 쓰이고 있는데, 조사(祖師)란 선종에서 불(佛)에 대신하는 이상적인 인격자이다.

연원 및 변천

조사선이라는 호칭이 정착하게 된 것은, 조사선의 계보라고 할 수 있는 『보림전(寶林傳)』(801)이 등장한 뒤의 일이다. 조사선이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한 이는 혜적(慧寂)으로 추정되고 있다. 혜적은 동문인 지한(智閑)에게 “자네는 다만 여래선을 얻었을 뿐, 아직 조사선을 체득하지는 못했다(汝兄得如來禪, 未得祖師禪).”(景德傳燈錄 11, 仰山慧寂)고 하였다.

종밀(宗密)은 선을 오종으로 나누어 외도선(外道禪)·범부선(凡夫禪)·소승선(小乘禪)·대승선(大乘禪)·여래청정선(如來淸淨禪, 如來禪)이라 하고, 이 중 여래청정선이 달마가 전한 것으로 최상선(最上禪)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후세의 선자(禪者)는 종밀의 여래선도 또한 이(理)에 매달려서 참된 선을 보인 것은 아니라 하고, 진선(眞禪)을 전한 남종선을 조사선이라고 이름하며 이를 여래선의 위에 놓은 것이다.

마조(馬祖)의 즉심시불(卽心是佛)과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는 조사선의 기본 사상이 되며, 임제(臨濟)에 이르러 조사선의 전성시대를 이루었다.

이러한 조사선은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융성하였다. 신라 말 고려 초에 개산된 구산선문(九山禪門)도 거의 남돈선(南頓禪) 계통이다. 조사인 진귀(眞歸)가 석존의 스승이라는 진귀조사설(眞歸祖師說)까지 있으며, 천책(天頙)의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은 조사선사상을 크게 부각시키는 데 공헌하였다. 그 뒤 선교양종 속에서 격외선(格外禪) 중심의 조사선풍이 차츰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선을 의리선(義理禪)·여래선(如來禪)·조사선(祖師禪)의 삼종선으로 구분하고 선문의 시비가 일기도 하여, 조사선이 한국의 선풍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선문수경(禪門手鏡)』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
『중국선종(中國禪宗)의 성립사연구(成立史硏究)』(정성본, 민족사, 1991)
『한국선사상연구(韓國禪思想硏究)』(한기두, 일지사, 1991)
『선종사상사(禪宗思想史)』(김동화, 보연각, 1975)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