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아세아협회 ()

근대사
단체
1934년서울에서 조직된 친일단체.
정의
1934년서울에서 조직된 친일단체.
설립목적

1934년 3월 3일, 조선무역협회장 가토(加藤敬三郎)를 회장으로 하여 “아시아의 대세와 시국의 진상을 규명하고, 황국 대일본과 아시아 제국과의 친선을 도모하고, 전 아시아 제국의 자주적 평화를 확보하고, 공존 공명의 실(實)을 거(擧)하여 그 복지를 증진함.”을 표방, 결성되었다.

기능과 역할

일제의 ‘대아시아주의’는 메이지(明治)기 초엽에 형성된 아시아연대사상의 연장으로, 일제의 아시아 침략 정략 및 조선의 지정학적 입장을 토대로 생겨났다.

대륙의 강국이 한반도를 손에 넣으면 동해·서해와 대마해협(對馬海峽)을 잃게 되어 일본은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여기에서 일제의 조일안보연계론과 그 연장인 일선일가(日鮮一家)·선만일여(鮮滿一如)의 논의가 생겨났다.

일·선·만을 하나로 묶는 이러한 논리를 몽고·동남아까지 확대한 것이 대아시아주의요, 그 연장인 대동아공영권론이다. 즉, 일본 중심의 동아블럭사상인데, 만주사변을 무마하고 합리화할 필요에서 1931년을 전후해 크게 일어났다.

이 협회는 위의 대아시아주의 및 황도사상을 연구, 보급, 실천하며, 아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국제 정세 및 아시아 제국의 국정(國情) 연구와 그 보급 등을 실천 사업으로 하였다. 조직은 회장 1명과 상담역 약간 명, 간사 10명 이내로, 회장 중심 체제이다.

창설 당시의 회장은 전술하였듯이 가토이며, 임기 2년제였다. 상담역은 관료 출신 및 재계 거물인 일본인 30명과 조선인 언론계 3명, 친일 거두 12명(합계 45명)으로 구성되었다.

조선인 상담역은 방응모(方應謨)·송진우(宋鎭禹)·여운형(呂運亨)의 세 언론인과, 제1급 친일 거두인 고희준(高羲駿)·김명준(金明濬)·민대식(閔大植)·박영철(朴榮喆)·박영효(朴泳孝)·박춘금(朴春琴)·신석린(申錫麟)·예종석(芮宗錫)·원덕상(元悳常)·윤치호(尹致昊)·조성근(趙性根)·한상룡(韓相龍)의 15명이었다. 회원은 일반 공모제(公募制)였고, 강연회·좌담회·출판물로써 흥아사상을 보급하였다.

참고문헌

「제1공화국과 친일세력」(임종국, 『해방전후사(解放前後史)의 인식(認識)』 2, 한길사, 1985)
집필자
임종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